earticle

논문검색

重記를 통해 본 호남지역 郡ㆍ縣의 기록물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Records in Gun(郡) and Hyeon(縣) of Honam through Junggi(重記)

중기를 통해 본 호남지역 군ㆍ현의 기록물 분석

진유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by comprehending numbers, storage and handling condition of Books, Document, Printing blocks out of other contents embedded in each Junggi retouched based on Junggi published at Gun(郡) and Hyeon(縣) in Honam province, set for an analysis on patterns of Books of records which a governor dispatched to regional office referred to or managed for his governance. Among existing 22 Junggis of Honam province, 550 kinds of Books, 293 kinds of Document and 3 kinds of Printing blocks were identified from 5 kinds of Junggi formed at Suncheongun(順天郡), Dongbuckhyeon(同福縣), Gwangyanghyeon(光陽縣), Gosanhyeon(高山縣) and Jangsuhyeon(長水縣). Kyeongseoru accounts for most of Books, followed by Jeongbeobru, Yugaru, Munjibru and Jolyeongru. Hogujangjeok(戶口帳籍) accounts for most of Document, followed by Yangan (量案), Jeolmok(節目) and Kwanan(官案). Printing blocks a kind of Munjibru is embedded in Junggi formed at Gosanhyen. Having grasped identical signatures aimed at Books embedded in Junggi published at Gun and Hyeon, we understand there is 93 kinds of it in total. In addition, we come to know Books 『Nonuh(論語)』, 『Maengja(孟子)』, 『Seojeon(書傳)』, 『Sijeon(詩傳)』, 『Juyoek(周易)』, 『Chunchu(春秋)』 kind of Kyeongseoru is a great part of it. Books displayed at Suncheon, Dongbuck, Gwangyang, Gosan and Jangsu was confirmed as 『Sohak(小學)』and 『Humhyuljeonchik(欽恤典則)』. It appeared that 『Sohak』 kept at Hyanggyo(鄕校) and Yebang(禮房), 『Humhyuljeonchik』kept at Hyengbank(刑房) was used for the compulsory guide.

한국어

이 연구는 조선후기 호남지역의 郡과 縣에서 작성된 重記를 원 자료로 삼아 각 중기에 수록된 내용 중에서도 書冊, 文書, 冊板을 중심으로 수량 및 보관, 관리 상태를 파악하여 지방 관아에 파견된 수령이 관할 지역의 업무와 통치를 위해 참고하거나 관리했던 기록물의 서책 유형을 분석한 것으로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존하는 호남지역의 중기 22종 가운데 順天郡과 同福縣, 光陽縣, 高山縣, 長水縣에서 작성된 5종의 중기에서 서책 550종, 문서 293종, 책판 3종이 확인되었다. 서책은 經書類가 가장 많았으며, 正法類, 儒家類, 文集類, 詔令類 순이다. 문서는 호구장적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量案, 節目, 官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산현에서 작성된 중기에서는 문집류의 책판이 수록되어 있었다. 군․현에서 작성된 중기에 수록된 서책을 대상으로 동일한 서명을 파악해 본 결과 93종으로 나타났으며, 이중『論語』,『孟子』, 『書傳』, 『詩傳』, 『周易』, 『春秋』의 經書類 서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순천, 동복, 광양, 고산, 장수지역에 공통적으로 비치된 서책은 『小學』과 『欽恤典則』으로 나타났다. 『소학』은 鄕校나 禮房, 『흠휼전칙』은 刑房에 비치되어 필수 지침서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호남지역의 重記
 3. 중기의 구성과 수록 기록물 분석
  3.1 『順天郡各掌重記』
  3.2 『同福縣各庫物種重記』
  3.3 『光陽縣各房都重記』
  3.4 『高山縣都重記』
  3.5 『長水縣重記』
 4. 기록물의 類別 비교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진유라 Jin, Yu-Ra.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