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新式儒胥必知』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Sinsik Yuseopilji

『신식유서필지』 고찰

김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per investigates on the history of the publishing culture of Sinsik Yuseopilji and its archival value which was compiled and published by a compilation expert, Hwang Pilsu, in 1901 (Gwangmu 22 years, Gojong 38 years). After the Gabo Reform of 1894 and the Eulmi reform of 1895, the form of documents was by and large changed because of the drastic social changes. So, scholars, public administrators or official deputies as well as ordinary people came to need references such as manuals required to prepare a document conforming to corresponding items. Hwang Pilsu, then, complied and published the book, Sinsik Yuseopilji to show people how to prepare documents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newly changed methods. On the basis of an existing book, Yuseopilji, he revised and added several parts. The updated version especially modified the existing section of civil and criminal suits. And it suggested new forms of petition and permit, when people asked for permission of government to establish a company. In addition, adding an article like ‘A System of Thirteen Grade’ that wasn't included in Yuseopilji, the book seems to have rapidly reflected the changes of the turbulent times. He also proposed some documents related to litigation and mentioned in detail the things to bear in mind during litigation processes. Given that he published lots of books including medical ones, he seems to have been one of the Enlightenment advocates. Sinsik Yuseopilji introduces easy and simple ways of description in accordance with five Ws and one H, which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Yuseopilji full of fixed formalities and outdated expressions. While the latter had been published by one person and then was revised so many times by other people, the former was completed by only one person's responsibility and capability. In that sense, it is a remarkable event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and archival studi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전문도서편찬자인 黃泌秀에 의해 1901년(광무 5, 고종 38)에 편찬, 간행된 『新式儒胥必知󰡕의 출판문화사 및 기록학적 가치를 규명하였다. 갑오개혁(1894)과 을미개혁(1895) 이후 사회변화에 따라 문서형식도 변화하였다. 따라서 각 지방의 행정관이나 서리, 선비 및 일반 백성들은 문서 작성 시 해당 안건에 맞도록 문서를 작성하는 매뉴얼과 같은 자료가 필요했다. 이에 황필수는 새로운 문서작성 요령을 기존의 『儒胥必知󰡕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新式儒胥必知󰡕를 편찬, 간행하였다. 이 책은 특히 『儒胥必知󰡕의 民刑訴訟, 請願書 부분은 대폭 수정하거나, 회사를 설립하기 위하여 국가에 허가를 요청하는 내용의 청원서와 이에 대한 認許狀와 같은 새로운 문서 양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서필지󰡕에는 없던 十三道等級 항목을 새롭게 추가하는 등 시대의 변화에 신속하게 반영하였음을 보여준다. 황필수는 이 책에 소송 관련 문서를 제시하면서 소송 과정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일도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그가 의학서를 비롯한 다수의 도서를 저술, 편찬한 인물이라는 점으로 보아 계몽의식의 발로라고도 생각된다.『신식유서필지󰡕의 서술방식은 대부분 육하원칙에 따라 간략하게 문서를 작성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일정한 격식을 갖추고 구태의연한 표현을 삽입하여 문서를 작성했던 『유서필지󰡕과 확실히 구분되는 점이다. 어느 한 사람에 의해 편찬된 이후 그 또는 그 이외의 다른 사람들에 의해 수정․보완되고, 또 여러 차례 교정과정을 거쳤던 『유서필지󰡕와 대조적으로 황필수라는 한 사람의 출판 의식과 역량으로 인해 완성된 󰡔신식유서필지󰡕 간행은 조선 후기의 출판문화사 및 기록학적 차원에서 보아도 주목할 만한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목차

<초록>
 
 1. 서언
 2. 간행 배경
 3. 『儒胥必知』와 『新式儒胥必知』의 비교
 4. 『新式儒胥必知』의 내용과 의의
 5. 결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순희 Kim, Soon-Hee.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