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for pondering upon both bibliographical analysis on #2 Jeo-jeong-jib (霽亭集) which is first editionhoused in Museum Go-Pan-Hwa, and upon, by contrasting the letters, how it’s changed from Jung-Gan-Bon, published in 1836. Thus we came to know below. First, 25 poetry and proses are included in #2 Choganbon, 19 poetry and proses out of them are included in #1, #2 and #3 Jung-Gan-Bon. In addition, 「Na-Ong-Haw-Sang-Eo-Rok-Bal-MI(懶翁和尙語錄跋尾)」 and 「Gim-Je-Hak-Cheon- Che-Chil-So(金提學薦妻七七䟽)」 are excluded in Jung-Gan-Bon but in DongMunSeon (東文選). Also 「Do-Sun-Mun-Sa-Sang-Lye-Jang(都巡問使上禮狀)」, 「Sang-Hwang- Hu-Cheon-Sa-Gong-Sin-Ho-Jeon(上皇后殿謝功臣號牋)」, 「Ha-Yun-Bi-Seong-So- Sang-Jeon-Gu-Sil(下允批省所上牋具悉)」, 「Dae-Myeong-Sa-Un-Pyo(大明謝恩表)」 are included in only first edition, which are not known to the public. Second, having contrasted the letters of the body of Jung-Gan-Bon, it was fou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resulted from letter in-and-out and I-che-Ja(異體字). Furthermore 「Dong-Jae-Seol(動齋說)」, 「Na-Ong-Haw-Sang-Eo-Rok-Bal-MI(懶翁和尙語錄跋尾)」, 「Kuk-Haeng-Seong-Jeol-Il-Ha-Pyo(國行聖節日賀表)」, 「Jeol-Il-Ha- Pyo(節日賀表)」, 「Gyae-Sa-Sib-Wol-I-Sib-O-Il-Ha-Hwang-Tae-Ja-Bong-Chaek-Jeon (癸巳十月廿五日賀皇太子封冊箋)」, which are under first edition, are confirmed to be more detailed than Jung-Gan-Bon and DongMunSeon.
한국어
본 연구는 원주고판화박물관에 소장된 初刊本 『霽亭集』권2에 대한 형태서지적 분석과 함께 초간본에 수록된 작품이 중간본(1836年刊)에서 어떻게 변개되는지에 대해 글자 대조를 통하여 구명해 본 것으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초간본 권2에는 모두 25편의 詩文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에 19편은 중간본 권1, 2, 3에 수록되어 있고, 「懶翁和尙語錄跋尾」와 「金提學薦妻七七䟽」는 중간본에는 수록되지 않고 『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都巡問使上禮狀」, 「上皇后殿謝功臣號牋」, 「下允批省所上牋具悉」, 「大明謝恩表」는 초간본에만 수록된 것으로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다. 둘째, 중간본의 본문과 글자대조를 한 결과 글자 출입과 異體字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초간본의 「動齋說」․「懶翁和尙語錄跋尾」․「國行聖節日賀表」․「節日賀表」․「癸巳十月廿五日賀皇太子封冊箋」은 중간본 및 『동문선』의 내용보다 자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1. 머리말
2. 조선전기 목판인쇄술과 출판문화사
3. 『霽亭集』의 편찬과 간행
3.1 이달충의 생애
3.2 『제정집』의 간행과 전래
3.3 중간본『제정집』의 체제
4. 초간본 『霽亭集』권2 분석
4.1 형태서지적 분석
4.2 본문 글자 대조
5.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1] 초간본 수록 작품
[부록 2] 글자 대조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