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박태원의 『천변풍경』에 나타난 풍경으로서의 근대적 성찰성

원문정보

Modern Reflexivity as a landscape in Park Tae-Won's A Landscape of the Riverside(『천변풍경』)

이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Landscape of the Riverside(천변풍경) contemplates the problem of people who lived in the most problematic area of Cheonggyecheon, Seoul of the 1930s. A life Creative and contemporary manner that is gentle to the development of day-to-day lives are citing melt the landscape of modern times it has been presented to us as one of the cattle that put the recognition of contemporary life. The landscape could be presented as an episteme because that Cheonggyecheon is the stream of historical and social space. Cheonggyecheon is imaged as a cultural representation to reproduce the spatial structure of capitalist development aspects of Korean society in the 1930s geometric. It is the way in which the sleep of an age episteme borrow Foucault's term and will in this way be reproduced through the epic space action. It is in terms of Cheonggyecheon is being reproduced as a visual adventure landscape that experienced the space of the city. The washing place and barber shop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pace that is spacious, has a narrativ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s and also through the observer is also the place to be imaged as a modern way of experiencing space through to readers. Individual characters are the way to create a new modern reflexive subject. They made a reflexive modernity through the countryside and the oppositional notion of Seoul, tradition and modernity. It appears as a figure of collapse and the formation of a new social benefit of traditional communities. The central space of reflexivity is a washing place and a barber shop in Cheonggyecheon have shown beyond a simple aesthetic reflexivity reproduced as visual perception as a place of communication.

한국어

천변풍경은 청계천변이라는 1930년대 서울의 가장 문제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그곳에 모여 살던 각양각색 계층의 인물들의 생활을 통하여 돈, 정욕, 도박이라는 당대 도시인의문제를 고찰하고 있다. 일상의 삶이 잔잔하게 전개되는 풍경들과 당대적 삶의 방식들이 녹아들면서 근대라는 풍경은 당대의 삶을 담아내는 하나의 인식소로서 우리에게 제시되고 있다. 풍경이 하나의 에피스테메로 제시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청계천이라는 역사적이며 사회적인공간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천변풍경에서 문화적 표상구조로서 이미지화된 청계천은 1930년대 조선사회의 자본주의의 발전양상을 형상적으로 재현하는 공간이다. 그것은 푸코의 용어를 빌리자면 한 시대의에피스테메를 설명하는 방법이며 공간이 서사행위를 통하여 재현되는 방법인 것이다. 도시의공간을 경험한다는 것은 시각의 모험이라는 점에서 청계천은 하나의 풍경으로서 재현되고 있다. 이 공간성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빨래터와 이발소는 인물들의 서사가 관찰자를 통하여서술되는 공간이기도 하며 독자들에게 체험의 방식을 통하여 하나의 근대적 공간으로서 이미지화되고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천변풍경의 등장인물들은 새로운 근대의 성찰적 주체를 만들어가는 개인들이다. 이들은시골과 서울, 전통과 근대라는 대립적 개념을 통하여 성찰적 근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그것은 전통적 공동체 사회의 붕괴와 새로운 이익사회의 형성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들 성찰성의 중심 공간은 청계천의 빨래터와 이발소이며 이 공간들은 의사소통의 장소로서 단순한시각적 인지를 넘어서는 미학적 성찰성으로서의 재현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청계천이라는 장소와 풍경
 3. 성찰적 근대성으로서의 주체
 4. 결론-1930년의 서울, 그리고 도시의 풍경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태숙 Lee, Tae-Sook. 단국대학교 교육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