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중국어 조사 ‘了’, ‘過’ 관련 구조 의미소 중한 대조분석 - ‘已經’, ‘曾經’과의 공기 관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f modern Chinese auxiliary word ‘Le’, ‘Guo’ on the Semantic 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 and ‘Yijing’, ‘Cengjing’ as the center

현대중국어 조사 ‘요’, ‘과’ 관련 구조 의미소 중한 대조분석 - ‘이경’, ‘증경’과의 공기 관계를 중심으로 -

한경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through the study of modern Chinese function words ‘Le’, ‘Guo’ structure, analysis of the Le’, ‘Guo’ and ‘Yijing’, ‘Cengjing’ between the various structures in the Le’, ‘Guo’ words and their time between different relations, namely the structure and the effects of tense Le’, ‘Guo’ a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at the same time the Le’, ‘Guo’ and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time. This may also explain the thinking system.

한국어

시간이 언어구조로 형식화될 때는 다시 시제, 상, 양상으로 표현이 된다. 시제와 상은 모두시간과 관계를 갖고 있지만 상은 공간적인 개념이다. 시제가 시간선 상의 외적 구성인 시간의위치를 나타낸다면 상은 내적 구성인 동사의 동작이 어떻게 펼쳐지는가를 보여준다. 본고에서분석한 ‘了’, ‘过’는 ‘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조사로 사용되고 있기에 이들이 중국어의 시제, 상, 양상과 어떤 관계가 있고, 그리고 한국어와는 어떤 대응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그 의미와 관련 통사구조를 통하여 면밀히 분석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고찰을 하게 되었다. 중국어 시간부사는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낼 수 있다. 본고는 대조분석과 Chomsky(1986)의지배․결속이론(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그리고 장벽이론(Barriers)에 근거하여조사 ‘了’, ‘過’와 과거를 나타내는 시간부사 ‘已經’, ‘曾經’ 사이의 공기 관계 속에서 여러 구조중 ‘了’, ‘过’ 의미소를 중한 대조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가 중국어 교수법 연구에 반영되면보다 좋은 교육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了’, ‘过’ 선행연구 및 관련 구조 의미소
 3. ‘已經∼了/過∼’ 구조 중한 대조분석
 4. ‘曾經 過/了∼’ 구조 중한 대조분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경숙 Han, Keung-Shuk. 단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연구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