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어학>

英語 借用語의 國語學的 考察 - 방송 모니터를 통한 영어 차용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formation and Semantic Shift in the Loanwords of a broadcasting language - aspects of variations in their word classes and their effects -

영어 차용어의 국어학적 고찰 - 방송 모니터를 통한 영어 차용어를 중심으로-

전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aspects of variations in the word classes of the loanwords of a broadcasting language, and the effects of these variations on their formation and semantic shift. After creating a high frequency English loanwords inventory, it is categorized into simple words (the original language borrower, the borrower to skip the grammatical form, clipping the borrower, the borrower root, etc.) and compound words (an affix, blends, etc). results reveal that The most common Is the borrower in the form of an original language, used not only in the form of roots but also in other forms. Next, this study deals with loanwords that transform parts of speech, becoming Verbs, adjectives, nouns, and adverbs. many loanwords are used in the form of a root in the morphological analysis, also becoming Verbs and adjectives used by being combined with ‘하다’ in the loanwords of transformed parts of speech. Finally, aspects of semantic shift in borrowing motives, applicable to New terms that are required, involve prestige motives, euphemistic expression, complete semantics field, discrimination semantics, and Expansion semantics.

한국어

放送 모니터를 통해 收集한 英語 借用語를 形態相의 특징, 品詞的 變化, 借用 動機에 따른 意味變化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高頻度 영어차용어 목록표를 작성한 후, 그것을 대상으로 單一語(원어 차용, 문법적 생략 형태 차용, 절단 단축 차용, 어근 차용)와 複合語(접사, 합성어, 혼성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原語의 형태 그대로 차용되는 경우와 다른 형태로도 쓰이면서 語根의 형태로도 쓰이는 경우가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국어에서의 品詞的 變化을 보이는 영어 차용어를 動詞化, 形容詞化, 名詞化, 副詞化, 冠形詞化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형태적 분석에서 어근의 형태로 쓰이는 경우가 영어차용어의 반을 차지했는데, 품사의 변화에서도 영어 차용어가 어근 자격을 얻어 접미사 ‘하다’와 결합해 동사화, 형용사화 되어 쓰이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마지막으로 차용 동기에 따라 隨伴되는 의미 변화를, 새로운 文物·文化의 指稱 필요성이 커지면서 영어를 차용하는 경우(의미 縮小, 共存 類義語 없으며 醇化語가 유명무실), 威勢的 동기로 차용하는 경우(공존 유의어 존재, 價値 下落), 婉曲 表現을 위해 영어를 차용하는 경우(유의어 존재, 가치 하락), 意味場 完成을 위한 경우, 意味辨別을 위한 경우, 意味擴大 使用에 의한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형태상의 특징
 3. 품사의 변화
 4. 차용 동기에 따른 의미 변화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지연 Jeon, Ji-yeon. 강원대학교 박사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