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계열별 경영효율성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partmental Management Efficiency of College in Korea

김도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imed at measuring relative efficiency consequent on departments of a junior colle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measured efficiency is determined by the influence of a scale, or by the technical influence using constant scale returns CCR Model, and variable scale returns BCC Model. As the input variables for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indexes of securing rate of full-time instructor over student quota, scholarship benefits per student, total amounts of tuition fees per student, number of students per full-time instructor, the ratio of lectures in a full time instructor's charge, and as calculation variables, this study used the indexes of filling rate of enrolled students, graduates' entrance rate, a full-time instructor's domestic scientific journal results, filling rate of freshmen within the quota, schoolwork sustaining rate, and employment rate, etc.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iency of 52.3% of the whole department of a college in Korea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a scale,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phenomenon by department, the efficiency in management of 40.6% of the arts & physical departments, 42.5 of the engineering departments, 46.6% of the natural science departments, and 79.4%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departments was found to be determined by a scal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artmental efficiency of a college consequent on background variables; in case of arts & physical departments located at sub-metropolitan cities, their efficiency was found to be determined by a technical influence while in case of humanities & social departments and engineering departments which are located at capital areas and metropolitan cities, their efficiency was found to be determined by the influence of a scale.

한국어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계열에 따른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측정된 효율성은 규모에 의한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지, 기술적인 영향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불변규모수익 CCR모형과 가변규모수익 BCC모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로는 학생정원대비 전임교원확보율, 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 학생 1인당 등록금 총액,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산출변수로는 정원 내 재학생 충원율률, 졸업생 진학률, 전임교원 국내학술지 실적, 정원 내 신입생 충원율, 학업지속률, 취업률지표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전체 계열 중 52.8%는 효율성이 규모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계열별로 분석한 결과 예·체능계열 40.6%, 공학계열 42.5%, 자연계열 46.6%, 인문사회계열 79.4%가 규모에 의한 영향으로 효율성이 결정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대학 계열 효율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광역시 이하지역에 소재한 예·체능 계열, 자연계열의 경우 기술적인 영향에 의해 효율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도권과 광역시에 소재한 인문사회 계열, 공학계열의 경우 규모의 영향을 받아 효율성이 결정되는 결과를 보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상대적 효율성의 개념
  2. 자료포괄분석
  3.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변수
  2.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효율성 측정지표들의 기술통계치
  2. 전문대학의 계열별 상대적 효율치의 분포
  3. 배경 변인별 전문대학 계열별 상대적 효율성의 차이검증
  4. 효율적인 전문대학 계열의 특성 및 비교
  5. 비효율적인 전문대학 계열의 잠재적 개선 가능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도진 Kim, Do Jin. 대전보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