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험인식과 위험소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류현숙, 홍승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plore if several prominent media theories are appropriate to explain the public’s risk perception and risk communication via social media. It is found that the existing theories, no withstanding their strengths, have failed in one way or the other to provide an integrated framework that is comprehensive in explaining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the public’s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In this milieu, the paper aspires to bridge the gap in knowledge based on the third person effect theory, the first person effect theory, and the ipresumed media influence model, with a view to providing more comprehensive scholarly lens for explaining the idiosyncrasies of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via social media.

한국어

본 연구는 위험인식 및 위험소통과 미디어의 관계를 설명하는 대표적 이론들의 특징을 검토하고, 이들 미디어 효과 이론이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험인식과 위험소통 현상들을 설명하는데 적합한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제3자 효과 이론, 제1자 효과 이론, 추정된 미디어 영향의 영향 모델 등에 주목 한다. 북핵, 성범죄, 자살, 불산 누출 사건 사례를 분석한 결과,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험인식과 위험소통 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기존 미디어 효과 이론을 일부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미디어 효과 이론들이 소셜미디어 상의 위험인식과 위험소통을 설명하는 하나의 통합된 분석틀을 제공하지는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미디어 효과 이론과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험인식과 위험소통 현상을 연결하는 시도로서, 향후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위험소통 전략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위험인식 및 위험소통의 의미
  2. 미디어 효과 이론
 III. 분석틀
  1. 가설의 설정
  2. 주요 변수의 측정
  3. 자료수집 및 분석
 IV. 분석 결과
  1. 제3자 지각 편향
  2. 미디어의 종류와 제3자 지각
  3. 제3자 지각과 제3자 행동 간의 관계, 추정된 미디어 영향의 영향 모델 적용여부
 V. 논의
 VI.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류현숙 Hyeon Suk Lyu.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 홍승희 Seung Hee Hong. 한국전력거래소 성과관리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