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환경오염 예방 및 방지를 위한 환경특별사법경찰제도의 합리적 운영방안 고찰 - 환경부와 광역지방자치단체 환경특별사법경찰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asonable consideration of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the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 focused 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gional municipalities, and special judicial police -

양재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nvironment is a fundamental right of citizen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article 35 stipulates,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a healthy and comfortable environment, and the State and all citizens shall endeavor to protect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is an investigative agency to crack down on environmental crimes caused by individuals or companies in pursuit of profits by indiscriminate use of air, water, and soils that results in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damage.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began in 1990 with the nomination of two law includ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Waste Management Act in the “Perform the duties of judicial police administration, and the law relating to the duty of range,” and in 2015, currently has 31 laws as appointed Secretary. Job enlargement of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has been in accordance with such: deepening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cial development, for example, moderniz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formation of industrial areas,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caused increase in the administrative violations, as well as constant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environment 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 However, expanding job scope holds a lot of problems due to a lack of professionalism on the staff.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provements and analyse the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Activities of special local administrations and municipalities of Greater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inally, We presented the development plan seeking to streamline and rationalize enforcement work and to present rational development plan with a review of the investigative capabilities of the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한국어

환경(Environment)은 헌법에서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으로 헌법 제35조는 “모 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 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로 규정하고 있다. 환경특별사법경찰은 개인이나 기업이 공유자원인 공기, 물, 지표(토양) 등의 무 분별한 이용으로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을 야기하며 이윤을 추구하는 환경범죄를 단속하는 수사기관이다. 환경특별사법경찰은 1990년「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 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에서 환경보전법, 폐기물관리법 등 2개 법률의 지명으로 시작하여 2015년 7월 현재는 31개 법률을 지명사무로 하고 있다. 그동안의 환경특별사법경찰의 직무확대는 산업구조의 근대화, 공업지역의 형성, 인구의 도시집중, 등 사회발전과 그에 따른 환경오염의 심화로 환경행정 법규 위 반 사범이 증가하게 되었고 지속적으로 환경개별법의 신설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직무범위 확대는 인력의 전문성 부족으로 많은 문제점이 양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의 특별지방행정기관과 광역지방자치단체인 서울시와 경 기도의 환경특별사법경찰 활동현황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경특별사법경찰의 환경사범 단속업무에 효율화와 합리화를 꾀하고 수사능력의 재고와 함께 합리적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환경범죄의 의의 및 특성
 Ⅲ. 환경특별사법경찰 제도의 논의
 Ⅳ. 환경특별사법경찰의 현황과 활동 실태
 Ⅴ. 환경특별사법경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정책적 제언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재열 Yang, jae-yeol. 서울시청, 한세대학교 경찰학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