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Realities and Features in North Korea's Degree of Dependence upon Chinese Trade since the 1990s: In Connection with the Implication and Problem Awaiting Solution to Establish 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초록
영어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alities and features in North Korea's degree of dependence upon Chinese trade since the 1990s, and based on such analys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future in connection with the implication and problem awaiting solution to establish 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North Korea’s degree of dependence upon Chinese trade since the 1990s was only around 20%, excluding the numbers 34.0% and 30.1% respectively in 1993 and 1997. The second, North Korea's degree of dependence upon Chinese trade since the 2000s has increased from 24.8% of the year 2000 to 30% of the year 2001-2002 and since then, has increased to 40% range in 2003-2004, 50% range in 2005-2006, 60% range in 2007, 70% range in 2008-2009, 80% range in 2010-2013, and reached finally 90% range in 2014. The third, the implication to establish 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in connection with this phenomenon since the 2000s saw that the deepening crisis are making the 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for the Two-Korean economic integration and a unified country difficult, and is obstructing the fields for accelerating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e fourth, the missions to solve for establishment of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at this point in time is that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push forward with the improvement of relations between two Koreas, the fixing of two Korea's largest trade partner, the enlargement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한국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1990년대 이후 북한의 대중국무역의존도에 대한 실태와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한반도경제공동체의 형성을 위한 함의와 해결과제를 규명하는 데에 두고 있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북한의 대중국무역의존도는 1948년부터 출범한 김일성 정권의 1990년 이후 1998년 김정일 정권의 공식 출범 직후인 1999년에 이르기까지 1993년 34.0%와 1997년 30.1%를 제외하고 30%대의 비중을 넘지 못하고 20%대 수준에 불과했다. 둘째, 2000년대에 들어와 북한의 대중국무역의존도는 2000년 24.8%에서 2001년-2002년의 30%로 증대된 후 2003년-2004년의 40%대, 2005년-2006년의 50%대, 2007년의 60%대, 2008년-2009년의 70%대로 약 2년 주기마다 10%씩 상승세를 이루고 2010년-2013년의 80%대를 돌파한 후 2014년 90%대(90.1%)로 진입했다. 셋째, 2000년대 이후 북한의 대중국무역존도가 지속화∙누적화∙절대화되고 있다는 것에 대한 한반도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함의는 우리의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에서 제시된 경제교류협력의 1단계를 거쳐 경제공동체의 형성과 경제통합을 통한 남북연합의 2단계를 거쳐 궁극적으로 통일국가수립의 3단계 완성이라는 통일전략의 실행을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이는 북한경제권을 남북경제권으로 통합시키는 한반도경제공동체 또는 남북경제공동체 의 형성을 통한 남북연합단계로 진입하게 된 여건을 만들어 궁극적으로 통일국가수립단계로의 진전여건도 상당히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함의하고 있다. 넷째, 현 시점에서 한반도경제공동체 형성의 해결과제는 남북관계의 개선, 남북교역의 확대, 남북경협의 활성화를 통해 북한의 대중국무역의존도구조에서 대남무역의존도구조로 전환시켜 한반도경제공동체의 형성을 조속히 추동하는 일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한반도의 냉전적 분단구조 상황에서 정치와 안보의 우선보다도 남북경제협력의 확대와 나아가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의 구축으로 나아가는 합리적 선택의 길을 동반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한반도 통일의 목표달성에 유익한 길이라고 주장했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1990년대 북한의 대중국무역의존도 실태와 특징
1. 대외무역의존도
2. 대중국무역의존도
III. 2000년대 이후 대중국무역의존도의 실태와 특징
1. 대외무역의존도
2. 대중국 무역의존도
IV. 결론: 한반도경제공동체 형성의 함의와 해결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