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mainly focused upon the suggestion of the contextualization of leadership models for the situation of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by trying to briefly reflec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veral phases and their leaderships in case of the realization of Korean unification. In addition, the suggestion of the proper and effective models of leadership in each phases of unification has been made. As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phases of unification process, three sociological terminologies, as transitions, unification and integration, have been utilized to establish the five stages of various boundariness: the old boundarized stages, the out-of-boundary stage, the early integration stage, the new boundarized stages, and the late integration stage. Continuously, the three paradigms for leadership modeling in terms of those stages of unification are proposed: the situational leadership paradigm which requires the variation or relocate the proper leadership styl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ituati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aradigm which promotes the macro-scaled innovations and transformations in socio-political contexts, and the neo-charisma paradigm which elicits the positive functions of charisma, and which induces the social changes through the frame transformation between the leaders and the followers. Table 1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situation, goals, influences and communication at each unification stages, and suggested the contextualized models of leadership at each five stages of unification: visionary leadership model, charismatic leadership model, connective leadership model, boundary leadership model, and policy-making leadership model. Additionally, those models of leadership for unification have been translated into the Christian perspectives, as prophetic leadership model, transformational charismatic leadership model, priest leadership model, inter-cultural leadership model, and Christian public leadership model.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by priority more upon the introductory suggestions of the contextualized models of leadership for the general situation of Korean unification, rather than upon the analytic approach to the specific leadership models at the specific situation of unification. The further study is expected from this article for the in-depth research on more detailed modeling of the leadership typology in case of unification as well as that of the Korean unification process and prospects.
한국어
이 글은 한반도 통일의 상황에서의 리더십의 상황화와 적절한 리더십 모델의 제안을 위한 것이다. 한국 통일의 발생의 경우 이를 서로 차별화되는 단계들의 연계로 전제한 선연구에 근거하여 그 단계들의 특성들에 대한 간략한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단계별로 적절하고 효율적인 리더십 모델들을 제시하였다. 통일의 단계별 구분에는 통일 상황의 종류를 표현하는 변이, 통일, 그리고 통합이라는 3가지 용어들로 접근하여 5단계의 경계화적 변화를 구분하였다: 그것은 구경계화 단계, 탈경계화 단계, 초기 통합 단계, 신경계화 단계 그리고 후기 통합 단계이다. 이어서 이러한 단계별로 상황적 리더십의 각각의 유형을 제시하였는데 리더십 모델의 제안을 위해서는 상황별 리더십 유형의 변화를 요구하는 리더십 상황이론, 광역적인 변화를 주장하는 변혁적 리더십 이론, 그리고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순기능을 도모하는 신카리스마 패러다임 등이 고려되었으며 그중에서 카리스마적 프레임 (frame) 재설정에 대한 3단계 프레임 변환에 의한 사회변동 과정 등도 살펴보았다. 통일 단계별 리더십의 유형들은 각각 비전적 리더십 유형, 카리스마적 리더십 유형, 연결적 리더십 유형, 경계적 리더십 유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책지향적 리더십 유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단계의 상황의 특성들, 해당 목표, 영향력과 소통, 그리고 리더십 모델의 제안을 간략히 도표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리더십 모델의 기독교적 표현과 상황화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선지자적 리더십 모델, 카리스마적 리더십 모델, 제사장적 리더십 모델, 교차문화적 리더십 모델, 그리고 기독교적 공공리더십 모델이다. 본고의 촛점은 특정한 통일 상황의 분석과 전망 그리고 각각의 리더십에 대한 깊은 통찰이라기보다는 통일의 단계별 과정의 대략적인 가정 하에 각각의 우선적 상황화 리더십 모델들의 간략한 제안이다. 물론 이 연구는 후속적 연구와 연계되어서 보다 정교한 통일 상황의 전망과 각 리더십 모델의 더 심도있는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통일 상황에 대한 고찰
1. 통일 상황의 종류
2. 통일의 5단계별 모델
III. 통일 상황화 리더십에 대한 고찰
1. 한반도 통일을 위한 리더십의 중요성
2. 고려되어야 할 리더십 패러다임들
3. 통일 단계별 리더십의 유형들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