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 멀티미디어 문화의 특성과 기독교 영성의 상관관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eatures of the Contemporary Multi-Media and Christian Spirituality

조성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hange of media culture, which is embodied since the middle of 20th century, stimulates to engender a big change over the consciousness, behavior, and life of the contemporary people in addition to the simple dimension of a new media’s emergence for message delivery. It means that such limited bias of human’s thinking as a pure inner activity has been dealt with in a new relational dimension with a human’s outer life itself as whole. Therefore, the contents and theme, process and method, and conclusion and application of human’s thinking cannot be defined as an independent and pure activity and it is necessary to be sensitive to interrelation with human’s existence and history Christian faith also actively embraces such contents of change. In other words, individual human beings’ faith in God is not simply confined to human’s inner thinking activity but rather have a deep and direct relationship to the process of change regarding human beings’ life context. This study begins from the presupposition that the range of such change includes both Christian theology and spirituality so, a creative perspective from this change, which differs from its traditional methodologies,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various meanings and values within primary theological studies. In detail, this study focuses on media culture’s developmen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its ongoing effects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spirituality after the Protestant Re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utual relation between them. Particularl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urrent situation of highly raised concern on spirituality would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ans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tures of media culture and Christian faith, this study attempt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appropriate for the contemporary context by providing a paradigm about spirituality studies in relation to media culture. Although a traditionally predominant reflection that the general category of ordinary culture such as multi-media belongs to a different realm from Christian theology, a recent trend of theological methodologies, which usually prefers a methodology of coalition rather than the aforementioned demarcation, became a significant motivation for this study. In detail, instead of a linear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theology, it concentrates on how theology’s realm would be expanded and who would be the proper partner of the extensive area so-called practical theology by accepting organically circular perspective. Throughout this process, theology, ministry and spirituality can overcome the unilateral way of top-down structure in the past and it would be necessarily connected to a structural change with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all members for another creation of core values. From the viewpoint of practical theology which describes the practice as the essence of theology, diverse and dynamic cultural phenomena cannot be limited in inactive meaning as an instrument or a resource for theology but rather it is substantial for themselves to be the subject which deter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ology. Based on this theological confidence, this study tries to widen the horizon of theology itself through an integration of various areas.

한국어

20세기 중반부터 구체화된 미디어 문화의 변화는 메시지 전달을 위한 새로운 매체 등장이라는 단순한 차원을 넘어 현대인들의 의식과 행위, 삶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야기하는 촉매제로 작용했다. 그 말은 인간의 사유 활동이 순수한 내면 활동에 한정된다는 선입견 대신 인간 외부의 삶 전체와 연결된 하나의 연장선상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인간의 사고 내용과 주제, 과정과 방식, 결론과 적용 등은 독립적이고 순수한 활동으로 정의할 수 없으며, 그것의 수행주체인 사람의 실존과 역사에 민감한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당위성을 내포한다. 기독교 신앙 역시 그런 변화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즉 하나님을 향한 각 개인의 신앙은 단순히 내면의 의식 행위에 묶이지 않으며, 인간의 삶의 환경이 변화해가는 과정과 밀접하고 직접적인 상호관계를 지닌다. 본고는 그 변화의 범주에 기독교 신학과 영성이 포함되며, 기존의 연구방법론에 없던 창의적인 시각이 도입되어 다양한 의미와 가치가 기존 신학 연구에 편입되는 성과를 거두었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현대사회의 미디어 문화 발달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가 종교개혁 이후의 기독교 신학과 영성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주목하고, 양자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주력했다. 특히 기독교 영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현실이 미디어 문화의 특징과 기독교 신학의 상호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라는 전제 아래, 미디어 문화와 관련된 영성연구의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기독교 영성의 의미를 현대적 맥락으로 재해석하려고 시도했다. 흔히 멀티미디어를 포함한 일반 문화의 영역을 기독교 신학과 별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방식이 전통적인 이해였지만, 최근 신학의 방법론은 그런 구분 대신 융합을 적극적으로 수용한다는 사실도 본고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했다. 즉 문화와 신학을 선형적 이해로 구분하지 않고 유기적인 원형적 이해를 통해 신학의 영역을 확대하고, 특히 실천신학이라는 광범위한 과제가 포함해야할 구체적인 동반자가 누구인지에 주목했다. 이런 일련의 작업을 통해 신학과 목회, 영성이 과거의 이분법적이고 일방적인 하향식의 체계를 벗어나 성원 전체의 참여와 소통을 통해 재구성되는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야할 당위성과 그를 통한 핵심가치의 재창조 필요성을 피력했다. 신학의 본질을 실천으로 규정하는 실천신학의 입장에서 볼 때, 다양하고 역동적인 문화현상과 그에 대한 성찰의 내용은 신학의 도구나 자료라는 소극적인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그 자체로 신학의 형성과정을 결정하는 주제임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런 신학적 확신에 근거하여 본고는 여러 영역의 융합을 통한 신학 자체의 범위 확대를 시도하려고 노력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미디어 문명
  1. 미디어의 전통적 개념과 기능
  2. 미디어 문화의 변화
 III. 미디어 문화와 기독교.
  1. 미디어 문화와 종교
  2. 미디어 문화와 기독교 영성
  3. 미디어 문화와 영성의 변화
  4. 탐색으로써의 영성과 신학적 정합성
 I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성호 Cho, Seong-Ho.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실천신학, 기독교 리더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