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백제의 요서경략과 중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기술

원문정보

Baekje(百濟)’s Liaoxi Reign(遼西經略) and Description of Middle & High School Textbooks

이도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was a lot of discussion about the history book on Baekje’s Liaoxi reign from the late of Chosun Dynasty. Since then, starting with nationalist historians, many scholars agreed to it. Regarding this, Hideo Inoue(井上秀雄), who is a Japanese scholar, exceptionally mentioned the possibility of Liaoxi reign in detail. It is worthy of taking notice but so far nobody has not referred to this. That’s why I introduced the full text of his opinion. Negative reaction into the history book on Liaoxi reign, Han Jinseo was at the head of it and there were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stances. However, many arguments were biased, so I added the past opinion as an alternative. For example, in 「Yangjikgongdo」, which is a core element of negativists, there is a passage, “In the late Qin Dyanasty, when Goguryeo occupied LiaoDong, Nanglang also took Jinpyeonghyun(晋平縣).” In connection with the passage, they confessed “It has no relevance with Baekje. It’s a description that is hard to understand.” As an alternative I interpreted it as “In the late Qin Dyanasty, when Goguryeo reigned Nanglang of LiaoDong, (Baekje) also (governed) Jinpyeonghyun of Liaoxi. ‘Nanglang of LiaoDong’ that was reigned by Goguryeo is distinguishable from ‘Jinpyeonghyun of Liaoxi’ that was reigned by Baekje. This is the most natural interpretation.

한국어

백제의 요서경략 기사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 이래로 논의가 있었다. 그 이래로 민족주의 사학자들을 필두로 많은 학자들이 요서경략을 수용하였다. 이와 관련해 일본 학자인 정상수웅(井上秀雄)은 이례적으로 요서경략의 가능성을 제법 소상하게 언급하였다. 이 점 주목할 만한 사안임에도 지금까지는 그 누구도 언급한 바 없었 다. 그랬기에 정상수웅의 소견을 전문(全文) 소개한 것이다. 요서경략 기사에 대한 부정론에 대해서는 한진서를 필두로 대다수의 일본 학자 들과 한국 학자들의 입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편견에 따른 바가 컸기에 그에 대한 대안으로 기왕에 제기한 필자의 소견을 제시하였다. 일례만 든다면 부정 론의 핵심 요소인 <양직공도>의 “진말(晋末)에 고구려가 요동을 략유(略有)하자 낙 랑 또한 요서의 진평현(晉平縣)을 차지하였다”는 구절에 대해 “백제와는 아무런 관 련이 없는 것이 된다. 이해하기 곤란한 서술인 것이다”는 실토할 정도였다. 이에 대 한 대안으로 필자는 “진말에 고구려가 요동의 낙랑을 경략하자, (백제) 역시 요서의 진평현을 (경략함이) 있었다”고 해석했다. 고구려가 경략한 ‘요동의 낙랑’과 백제가 경략한 ‘요서의 진평현’으로 구분이 되는 것이다. 아주 자연스러운 해석이 아닐 수 없다. 요서경략 자체가 교과서에 수록되었다면 그 시점에 대해서는 논의가 다양하다고 언급하면 될 것이다. 요서경략 자체를 부정한다면 굳이 교과서에 수록할 필요는 없 을 것 같다.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요서경략에 대한 수록이 집필 방침이 라면 보다 구체적인 서술로써 수용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요서경략 기사와 그에 대한 인식
 Ⅲ. 교과서의 요서경략 서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도학 Lee, Do Hack.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