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북한 청동기시대 편년연구의 비판적 검토 : 대동강유역 주거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ritical review of chronological study of the bronze age in North Korea-Focused on the dwelling site in Taedong River basin

정동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North Korea, the concept of Bronze age was applied in the late 1950s. Through the 1960s, details of chronology frame were suggested in the 1970s. However Bronze age research in North Korea was regressed because Taedong River civilization theory was lack of objectivity in the 1990s. South korea also have been studying Bronze age widely. But old and subjective North korea materials are lack. So if south Korea want to be able to accept the data presented in the North Korea, they have to examine them. Therefore this article investigates critically reexamination of the North Korea chronology study focusing on the dwelling. Regionally, analyse around Taedong river basin which accounts for 44% of North Korea dwelling sites. About properties of dwellings, analyse sizeㆍfineness ratioㆍground tampingㆍhearthㆍ entrance facilityㆍbankerㆍfire potㆍpillar arrangement. And through sizeㆍ fineness ratioㆍground tampingㆍhearthㆍpillar arrangement containing temporal and spatial meanings, apprehend characters about each dwellings. After that, study aspect of transition on each properties basing the authority of stratigraphic relationships. On dwelling sites, concentrating on PyodaeㆍNamgyungㆍGoyunri sites having clear stratigraphic relationships, study characters and aspect of transition of dwellings. That sites are located in the local area around the Taedong river and when analysing artifacts, not only Misongri-type pottery but also Top-type and transform Top-type pottery similarly had changed. They constantly interactions exchanged each other, so will be represent Taedong river basin bronze dwelling culture. The results suggest that all sites can be established different quarte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characters of each quarters and aspect of transition. The emergence and extinction of transform Top-type pottery and Misongri-type pottery is applied to important standards for setting quarters of the three sites. When viewed through it, assure that any quarter of each site is associated with any quarter of other sites. And by using this standards, study some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 of each sites about detailed properties involved each quarters. The size of three site dwellings tends to change medium size into variety size, since Pyodae site 3quarter, Namkyung 3quarter, Goyunri 2quarter. Fineness ratio is that only from Pyodae site 2quarter, the ratio of rectangle increase and thin-rectangle appear. But other 2 sites are basically all rectangle. Ground tamping also, three sites change into basically common tendency and tend to diversific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hearth, the difference is distinct. Typically Goyeonri site first had been non-facility and pit hearth together, after that non-facility hearth was more. But Namkyung site was changed non-facility hearth into upstanding stone hearth, Goyeonri site tended to unify over being changed variety type into pit hearth. Pillar arrangement shows certain regularity and Regional differences together. Basically, inner pillar of all three sites tend to change regular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Pyodae site dig pit regularly and arrange cornerstones. And Goyeonri site shows developed method that cornerstones was arranged vertical and horizontal parallel sha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Bronze age chronology study of North Korea reviews critically and presents some solutions about that. So I have done basically study on dwellings of Taedong river basin. I hope to continue this study to obtain finally goals that combine South Korea bronze age with North Korea bronze age.

한국어

북한에서는 1950년대 말 이미 한반도에 청동기시대라는 개념을 적용시켰고, 1960년대를 거쳐 1970년대에는 세부적인 편년틀까지 제시했다. 그러나 1990년대 대동강문명론으로 객관성이 상실되었고, 이는 북한 청동기시대연구 퇴보와 이어졌 다. 남한에서도 최근까지 청동기시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북한 과의 지리적인 단절은 한반도라는 큰 틀에서의 청동기시대 연구에 큰 걸림돌이 되 고 있다. 북한의 자체적인 연구는 오래되고 검증이 부족해, 이를 적용시키기 위해서 는 북한 자료에 대한 검토가 선행돼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에 대한 초보적인 연구로 북한 청동기시대 편년연구 중에 주거지를 중 심으로 비판적인 검토를 진행했다. 지역적으로는 북한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의 44% 를 차지하는 대동강유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거지에 대한 속성은 크기ㆍ장 단비ㆍ장축방향ㆍ바닥다짐ㆍ화재흔적ㆍ출입구시설ㆍ작업대ㆍ노지ㆍ주공배치(내 부와 벽가)등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리고 속성 중에서 시간과 공간적인 의미를 가 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크기ㆍ장단비ㆍ바닥다짐ㆍ노지ㆍ주공배치(내부와 벽가)를 통해 각각의 주거지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고, 층서관계를 근거로 유적의 분기설정 을 통해 속성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유적 중에서는 명확한 층서관계를 가지고 있는 표대ㆍ남경ㆍ고연리유적을 중심으로 주거지의 특징과 변화양상을 파악하였 다. 이들 유적은 서로 근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유물을 통해서 볼 때 미송리형토기 ㆍ팽이형토기ㆍ변형팽이형토기가 비슷한 양상으로 변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유적들은 대동강유역 주거문화를 대표 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 세 유적 모두 보고서와는 조금씩 다른 분기를 설정할 수 있었고, 대동 강유적 주거지의 각 분기별 특징과 변화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변형팽이형토기 와 미송리형토기의 등장과 소멸은 이들 세 유적의 분기를 설정하는데 큰 기준으로 적용되었고, 각 유적들이 분기별로 서로 대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기 준으로 각 분기별로 세부적인 속성에 대한 몇 가지 공통적인 요소와 유적간의 차이 도 파악하였다. 주거지의 크기는 세 유적 모두 중형이 중심을 이루다가 표대유적 3 기, 남경유적 3기, 고연리유적 2기부터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장단비는 표대유 적의 경우에만 2기부터 장방형의 비율이 증가하며 세장방형도 등장하지만, 나머지 두 유적은 기본적으로 모두 장방형이다. 바닥다짐은 세 유적이 어느 정도 같은 양상 으로 변화하고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에 노지는 유적별로 차이가 뚜렷한 데, 대표적으로 고연리유적은 무시설식과 수혈식이 공존하다가 무시설식이 우위를 차지하지만 남경유적은 무시설식에서 위석식으로, 표대유적은 비교적 다양한 종류의 노지에서 수혈식으로 단일 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주공배치는 일정한 규칙성과 동시에 지역적 차이를 모두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세 유적 모두 내주공이 규칙적으 로 배열되는 변화양상을 보이지만 표대유적은 규칙적으로 주공을 파고 초석을 배치 한 반면에 고연리유적은 주춧돌을 외주공과 종ㆍ횡상 평행하게 배치하는 발전된 형 태를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북한 청동기시대 편년연구의 흐름과 문제점
  1. 청동기시대 개념의 등장과 편년설정 과정
  2. 청동기시대 편년연구의 비판적 검토
 Ⅲ. 대동강유역 청동기시대 주거지 편년 재검토
  1. 주거지 현황
  2. 속성 분류 및 분석
  3. 유적별 주거지 분기 검토 및 설정
 Ⅳ. 대동강유역 청동기시대 주거지 변화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arct

저자정보

  • 정동귀 Jung, Dong Gwi. 국립나주박물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