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신라어에서의 외래 요소

원문정보

Foreign Elements in the Silla Language

최범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approach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illa language, from which Middle and Modern Korean languages are originated, we analyzed the phonemic system, syntax and lexicon in different Silla documents including epitaphs, and the dialect ma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ollowings are concluded : (1) The words indicating the fortress (城) permit us to figure out the dialect map, which shows that /gol/ prevailed in mid-north Korea and /gi/ and /hi/ in the southern Korea, indicating the drop of word-final /l/ in the southern Korean dialect. It seems that /gi/ changed into /hi/ later. (2) Drop of word-final /-l/ in the southern Korean dialect is also found in the dialect map of /mal/ (village). /mal/ changes into /ma/ especially in the area of /hi/ dialect. (3) On the dialect map, the distribution of words /buri/ and /bəl/ displays an intrusion into the preexisting dialect regime,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areas might belong to those of immigrants. (4) The accusative /-ıl/ or /-ɒl/ was utilized in Seodongyo, the oldest song among Silla Hanngga songs and in the Goryeo Hangga songs as in Modern Korean. In contrast, the accusative postpositions /-gıra/ and /-gıl/ prevail in the Silla Hyangga songs except Seodongyo, and similar accusative form /-gɒra/ is also utilized in the Jeju dialect. These Silla accusatives are comparable with the Mongolian accusative /-iig/. (5) The locative case /-dɒi/ of the Silla language may belong to the Altaic locative cases including the /-dur/, /-tu/, /-de/ and others. (6) Endings /-hi/(攴/支) and /-ho/(乎) are found in the contexts of adnominal, connective and gerundial forms of Silla Hyangga songs, and are similar to Mongolian suffix /-qu/~/-q/ in sound and function. (7) The Silla words /jisi/ (face) and /nasi/ (age) reconstructed in Hyangga songs are comparable with the Middle Korean /jız/() and /nah/(낳), and with the Written Mongolian /ǯisu/ and /nasu/ or with Khalkha Mongolian /züs/ and /nas/, respectively. The Silla word meaning people(民) has the ending /-n/ and is followed by the subjective /-ɒn/, and so it can be restored as /aran/ in consideration of Middle Korean /arɒm/ (people) and comparable with Mongolian /haran/~/aran/ (people). (8) The Silla word /sals/~/salh/ (east) is comparable with the Tibetan /shar/ or Hindi /sūryōdaya diśā/. (9) The Silla gerundial form /-n/ is corresponding to /-m/ of Middle and Modern Korean gerunds. (10) The word /ji/ denoted by 智 or 知 in the Silla epitaphs is an honorific suffix as in case of the Hindi suffix /ji/, and is replaced by /nim/ in the Modern Korean. The word /nim/(主) designated originally the head in the Silla language as used in several words such as 國主(naranim), 部主, 州主, 軍主 and 城主, and is the same in meaning and usage as the Mongolian /noyan/~/noyon/. (11) A great change in the notational system of the Silla epitaphs occurred around the year 562 AD. The fact that it is in the year 562 that all the countries of Gaya were taken into the Silla territory may indicate that the Silla‘s political integration of Gaya nations resulted in its acceptance of Gaya’s culture.

한국어

신라어 제반 언어자료를 음운체계, 통사, 어휘, 언어지리학 등의 관점에서 조명 하여 현대한국어나 중세한국어와 다른 신라어에서의 요소들에 대해 접근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城을 이르는 어휘에 대해 방언지도를 작성 한 결과, 한반도 중북부 지역은 본디 /골/형 방언이 지배했고 남부지역에서 /기/ 또 는 /히/로 변화했으며 /히/는 /기/가 다시 변화한 결과로 추정된다. (2) 말음 /-ㄹ/이 탈락되는 남부지역의 음운현상은 땅이름 /말/(村)의 방언지도에서도 확인되며 /마/ 형 방언권은 /히/형 방언권에 겹치는 양상을 보여준다. (3) 방언 지도에서 /부리/형 방언권과 /벌/형 방언권은 침투하는 양상으로 발달하며 이주자의 언어로 추정된다. (4) 신라향가에는 고려향가와 달리 목적격이 /-글아/(肹良)와 /글/(肹)이 주축으로 보이며 진평왕대에 쓰여진 서동요에서 목적격이 /-을/, 혜성가에서 /-글아/(肹良)로 상충되는 양상이 발견된다. 목적격 /-글/은 몽골어 목적격 /-iig/과 친연성이 있다. (5) 알타이어계 언어들에서 확인되는 처격에 /-dur/, /-tu/, /-de/ 등과 유사한 신라어 처격 /-/가 발달한다. (6) 신라어 관형형, 연결형, 명사형 어미로 쓰이는 /-히/와 /-호/가 있으며 관형형과 명사형으로 쓰이는 몽골어 /-qu/~/-q/와 유사한 성격을 보여준다. (7) 신라어 어휘 /지시/․/나시/는 중세한국어에서 //․/낳/으로 발전되나 몽골문 어 /ǯisu/․/nasu/와 보다 친연성이 있다. 안민가의 民의 새김은 중세한국어 /아/ (民)을 바탕으로 할 때 /아란/으로 추정되면 몽골어 /haran/~/aran/과 친연성이 있 다. (8) 신라어 /삸/~/삻/(東)은 티베트어 shar, 힌디어 sūryōdaya diśā와 친연성이 있다. (9) 신라향가에서 확인되는 /-ㄴ/형 동명사는 뒤에 /-ㅁ/형 동명사로 바뀌는 것 으로 외래 요소의 성격으로 보긴 어렵다. (10) 신라 비문에서 사람이름과 벼슬이름 사이에 쓰이는 智나 知는 존칭접미사 /지/를 적으며 힌디어의 존칭접미사 /ji/와 기 능상 같다. 이에 해당되는 현대한국어의 /님/은 國主, 部主, 州主, 軍主, 城主 등에서 보듯 존칭어 아닌 직위를 나타내는 말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음성과 의미에서 몽골 어 /noyan/~/noyon/과 같다. (11) 신라비문의 표기는 6세기 중반에 대변화가 일어 나는데 금관가야를 비롯하여 대가야 등 주변 국가가 신라로 포섭된 시점이며 신라 의 정치적 포섭 결과 가야 문화의 폭넓은 수용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신라어의 음운체계와 표기법
 Ⅲ. 땅이름의 언어지리학
 Ⅳ. 신라향가에서 특이 요소
 Ⅴ. 신라 비문: 존칭접미사 /지/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범영 Choi, Pom-yong. 시인, 지질학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