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서공동체. 자기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인성교육 실천의 장(場) ― 폴 리쾨르 철학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ommunauté de lecture. Espace pratique de l'Education du caractère pour édifier l'identité narrative ― A la lumière de la philosophie de Paul Ricoeur

전종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la lumière de la philosophie de Paul Ricœur, en particulier à partir de sa réflexion sur la compréhension de soi et l'identité narrative dans l'herméneutique du récit, nous nous sommes efforcé de dégager une nouvelle éducation du caractère dans la formation générale de l'Université. Pour nous, cette éducation vise à construire une communauté de lecture. Cette communauté fait de la classe un espace pratique et idéal qui permet aux étudiants d'instaurer l'identité de soi et d'acquérir la sagesse pratique(phronèsis), c'est-à-dire la capacité d'agir moralement et éthiquement dans des situations concrètes, en particulier par la médiation des œuvres littéraires. Grâce à la sagesse pratique, ils peuvent devenir les citoyens responsibles et actifs au sein d'une société démocratique. A travers la théorie du récit et grâce à la notion d'identité narrative, nous pouvons comprendre comment l'identité des étudiants peut être mise en question et reconfigurée. La théorie du récit et la notion d'identité narrative nous aident à comprendre comment se constitue et se reconfigure leur propre identité. La vie du lecteur(notre étudiant) ne cesse d'être refigurée par la narration. Une telle activité peut induire des changements qualitatifs, et surtout constitutifs. C’est ainsi que, par la médiation des textes, l'identité narrative du lecteur se prête à une transformation progressive. Cette identité n'est pas simplement individuelle, elle est collective, dans la mesure où la communauté de recherche est transformée par la «communauté de lecture». Dans la communauté de lecture, tous les membres de la classe construisent leur identité grâce aux textes qui deviennent pour chacun des références de son histoire effective. La communauté de lecture est un espace pédagogique, concret et surtout pratique, où les étudiants apprennent à articuler les propositions de monde offertes par les textes et leurs expériences et situations actuelles. Cette articulation leur permet d'augmenter leurs possibilités actuelles et de transformer leurs projets de vi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 철학자 폴 리쾨르의 철학을 통해 대학 교양교육 현장에서 독서공동체를 구성하고, 이 공동체에서 대학생이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고 책임 있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인성교육 실천의 장을 제안하는 데 있다. 2015년 7월에 발효된 ‘인성교육진흥법’에 따라 내년부터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이 본격적으로 실시될 상황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교 교양교육, 특히 인성교육과 시민교육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일부 인성·시민교육이 교수자와 교육 대상자의 관계를 수직적 관계로 보려는 경향을 띠는데 반해, 우리는 교육관계의 두 축인 교수와 학생의 관계를 수평적 관계로 본다. 스승-제자(혹은 교수-학생)의 교육적 관계가 본질적으로 비대칭적이지만, 이 비대칭성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은 자기를 이해하고 타자와 더불어 그리고 타자를 위해 살겠다는 자기의 ‘좋은 삶에 대한 추구’에서 비롯된다. 이는 리쾨르 철학을 교육적으로 적용한 결과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인성교육을 받음으로써 대학생은 더 이상 수동적 교육대상이 아니라 자기 삶의 실천적 주체이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윤리적 주체가 될 것이다. 즉 독서공동체를 통해 대학생은 책임 있는 시민이요, 타자와 더불어 살기를 지향하는 존재로 성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독서공동체는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을 인성·시민교육에 적용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이 공동체는 ‘잘 살기’와 ‘더불어 살기’를 실현하기 위한 ‘작은 민주주의 사회’이며, 이 상징적 공간에서 대학생은 민주사회의 가치(민주적인 의사결정, 민주사회의 자주관리 등)를 경험할 것이다. 다시 말해, 독서공동체는 전통적 대학 강의실을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공동체’로 전환시킬 것이다.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리쾨르의 자기(le soi) 개념. 자아(moi)에서 자기(soi)로
 3. 텍스트와 자기이해, 그리고 자기 정체성
 4. 텍스트의 세계와 윤리적 정체성
 5. 독서공동체. 인성교육 실천의 장(場)
 6. 결론
 참고문헌
 요약문

저자정보

  • 전종윤 CHUN Chong-Y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