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trategy for enhancing accountability of welfare agencies for the elderly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nagement. The analytical model is design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appraisal factors, social workers’ burnout, and empowerment factor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primarily examines the effect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job stress factors on accountability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Chungcheongbukdo including social workers’ burnout as a mediating variable.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 tha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among the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variables and role overload among job stress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social workers’ accountability. In addition, percep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the procedures of evaluation, and role overload also significantly influences social workers’ burnout. Finally, burnout factors revealed a significant relation to responsiveness. This study additional presents and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in considering all resul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한 노인복지기관의 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노인복지기관의 평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여 이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실증적 분석을 통해 노인복지기관의 성과평가체계 요인과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소진 문제해결 및 역량강화를 위한 변수가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 노인 복지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성과평가체계와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소진을 매개변수로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성과평가체계 요인 중 성과평가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과부하가 책임성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직무소진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성과평가결과에 대한 인식, 성과평가절차에 대한 인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과부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직무소진 요인이 대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 노인복지기관에 대한 연구
2. 성과평가체계요인
3. 직무소진
4. 노인복지기관의 지속가능한 성과(책임성)
III. 연구 설계
1. 연구 방법
2. 분석 모형
3. 분석방법
IV. 분석결과
1. 응답자의 특성
2. 평균분석
3. 책임성(노인들에 대한 대응성)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V. 함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