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s to empirically analyz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basic data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of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nd empirical analysis was made on total 419 questionnaires. As for data analysis, SPSS 21.0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S 21.0 was used to conduct path analysis and effective degradation; and, Sobel test was made to verify mediating effect. Conclusion of such analysis results is as below; First, it showed tha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it showed that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ird, it showed that self-esteem had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with a parameter of school life adapt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학교생활 적응을 매개효과로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19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1.0을 사용하여 경로분석, 효과분해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요약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1. 삶의 만족도
2. 학교생활 적응
3. 자아존중감
4. 사회적 지지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측정변수의 특성
3. 측정변수의 상관관계
4. 모형의 적합도
5. 대안모델 변수 간 경로분석
6. 효과분해 및 Sobel Test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