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a society wher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our survival have substantially increased, the role of government and the study of government trust have faced a crucial turning point. Accordingly,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citizen’s environmental perception is a crucial factor in increasing trust in governmen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citizen’s environmental quality evaluation, citizen’s recent negativ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have negative impact on trust in government. Second, in terms of citizen’s perception of government efforts, the more the citizens are satisfied with government policies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e more positive effects they have on government trust. Finally, in terms of citizen’s environmental self-efficacy, the citizen’s increasing self efficacy of environmental problems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government trust.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government trust, the government should consistently pursue policy measures that citizens could feel their self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it should also make systematic efforts to promote its programs to the citizens and let them know how well the government is prepared to deal with the environmental problems.
한국어
환경문제가 시민의 생존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이 증가하고 있는 현 사회에서 이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정부의 역할이나 그에 따른 정부의 신뢰 연구도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가설을 세우고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들의 환경의 질 평가에서 시민들이 현재의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 친환경노력은 정부가 환경보호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고 시민들이 인식할수록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환경 자기효능감은 시민들이 체감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효율성 있는 환경정책을 추진함과 동시에 정부가 환경문제에 잘 대처하고 있다고 시민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정부노력에 대한 정책홍보 및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함으로써 정부신뢰를 증진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I. 서론
II. 환경평가와 정부신뢰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정부신뢰
2. 환경과 정부신뢰
3. 인구통계학적 변수
Ⅲ. 조사설계 및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2. 자료와 표본특성
3. 변수 및 측정
Ⅳ. 분석결과
1. 환경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
2. 정부신뢰에 시민의 환경인식이 미치는 영향력 분석
V.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