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난관리자원 비축 및 동원 체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stockpile and mobilization framework for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Changyeol Lee, Taehwan Kim, Giljoo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needs a framework to minimizing the damage using the just-time just-resources strategy. But it is not easy to put ‘what kinds of resources’, ‘how many resources’, ‘from where institutions’, and ‘how much money for the reimbursement’. So most of the local government depends on the field manager.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conventional system and provides the efficient methodology to the stockpiling and mobilizing against to the disaster. The study does not provide the stockpile amount for the local governments, because the stockpile amounts must consider the local diverse situations.

한국어

재난 발생 시 신속히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을 투입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체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재난 발생 시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의 유형과 해당 필요량에 대하여 객관적 정보가 부족하여 현장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해당 자원에 대한 보유기관과 해당 기관과의 응원 요청, 동원과 보상에 대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축과 동원에 대한 기존 체계에 대한 분석과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비축과 동원에 대한 샘플 사례 분석과 가이드라인 수준의 방향성 제시로 한정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실제적인 비축 기준을 작성하는 것은 각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결정하여야 할 문제이다

목차

ABSTRACT
 요약
 1. 서론
 2. 기존 비축 체계
 3. 기존 동원 체계
 4. 비축 및 동원체계에 대한 연구
  4.1 비축 체계 연구
  4.2. 동원 체계 연구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정보

  • Changyeol Lee 이창열.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 Taehwan Kim 김태환.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 Yongin University
  • Giljoo Park 박길주. Research Center, Metarights Inc.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