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직장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이 민간경호원의 직무태도에 대한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Mobbing by Forming on Alienation in Job Attitude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and Control of Self-esteem : focused on Seoul-Kyunggi area

Yonghak Kim, Seungbyeol Park, Taebock Kim, Hyunmi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ultimately it maximiz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keep private security guards physical and mental health.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workplace bullying negatively impacts private security guard’s office attitude, bu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luence with their level of self-esteem scale. First of all,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of variabl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bu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they have, the more job satisfaction they get, the lower turnover intention they have. Second, we tried to find out how self-esteem affect them on their job satisfac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can see that job satisfaction is affected by age, workplace bullying, relational aggression and self-esteem. For example, job satisfaction is increased as they get old and self-esteem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workplace bullying and relational aggression is decreased. Third, to find out how self-esteem affects their turnover intention, we di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urnover intention is affected by age, working period, workplace bulling, relational aggression and self-esteem. For example, turnover intention if higher as working period, workplace bullying, relational aggression is increased while age and self-esteem is decreased.

한국어

이 연구는 민간경호원을 대상으로 직장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은 부정적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직장 내 따돌림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며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응집력을 강화하고 민간경호원의 정신 및 신체적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그 결과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업무 따돌림과 인간관계 따돌림, 업무 따돌림과 이직의도, 인간관계 따돌림과 이직의도, 자기존중감과 직무만족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의 변수들 간에는 서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집단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에 따른 자기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 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업무 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 자기존중감이 직무만족에 각각 영향 을 주며, 연령과 자기존중감이 향상되면 직무만족은 향상되지만 직무 따돌림과 인간관계 따 돌림은 감소되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직장 내 집단 따돌림과 자기존중감이 이직의도에 영 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근속 년수, 업무 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 자기존중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며, 근속 년수와 직무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이 증가하게 되면 이직의도도 증가되지만, 연령과 자기존중감은 감소되는 것이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2.1 집단따돌림의 유형과 수준
  2.2 집단따돌림과 직무태도
  2.3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조사도구
  3.3 설문지의 신뢰도
  3.4 자료처리
 4. 연구결과
  4.1 요인간의 상관관계
  4.2 직장 내 소외감 형성의 따돌림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도
  4.3 직장 간 소외감 형성의 따돌림과 자아존중감의 이직의도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Yonghak Kim 김용학. Department of Police & Security Service, University of Hyechonro,
  • Seungbyeol Park 박승별. Department of Police & Security Service, University of Hyechonro
  • Taebock Kim 김태복. Department of Police & Security Service, University of Hyechonro
  • Hyunmi Kim 김현미.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of Daehakro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