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xplicating the effects of political discussion in SNS with similar/dissimilar others in political opinion - focusing on perceived self-exposure to multiple perspective, perceived information acquisition, political participation, knowledge, interest and efficacy -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1) whether using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increased political discussion with like-minded and/or dissimilar others, and 2) what impact the two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interaction had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related cognitive-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olitical knowledge, interest and efficacy. Results showed that using SNS enhanced political discussion both with like-minded and dissimilar others. However, political effects of political discussion differed by whether the discussion partner had similar or dissimilar political opinion. Discussing with similar others in political attitude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olitical knowledge, interest, internal political efficacy, as well as political participa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and media us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discussion with dissimilar others merely had political impact, only but boosting perceived selfexposure to multiple perspectives and perceived information acquisition.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1)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 이용이 정치적으로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불일치 대상과의 토론을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2) 이처럼 다른 종류의 정치적상호작용이 정치 참여와 정치 참여와 관계되는 인지심리적 요인들 -정치지식, 정치적 관심도, 내적 정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국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은 정치적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과 불일치하는 대상과의 토론을 모두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토론의 정치적 효과는 토론 대상과의 의견 일치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정치적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과의 토론은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 그리고 뉴스미디어 이용 변인들의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정치지식, 정치적 관심도, 내적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사회적 참여에 긍정적이고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치적 의견이 불일치한 대상과의 토론은 다양한 시각 학습감과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에 대한 정보획득감을 증가시켰으나, 정치사회적참여를 비롯하여 정치지식, 관심도, 효능감 등의 정치적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치사회 참여과정의 이론적 메커니즘을 확장하고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함의를 논하였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문헌연구
1. 정치적 상호작용의 정치 참여 효과
2. 의견일치대상/의견불일치 대상과의 토론의 정치 참여 효과
3. 소셜미디어 이용과 의견 일치/의견불일치 토론의 관계
III. 연구방법
1. 설문조사 절차
2. 변인 측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