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투표 참여 독려 광고가 유권자의 정치효능감과 투표 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른 대학생들의 투표 참여 행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mpact of Vote Campaigns on Voters’ Political Efficacy and Vote Participation : Based on political ideology perspective of young voters

이영화, 전승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how vote participation advertisements are effective to persuade young voters to participate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is study proposed that people with different political ideology (progressive vs. conservative) may react differently to vote participation advertisements emphasizing different political efficacy (internal efficacy vs. external efficacy).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with a sample of 239 undergraduate students, employing a 2 (political ideology: conservative vs. progressive) × 2 (political efficacy: internal vs. external) between-subjects desig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rogressive people is more likely to be internal efficacy than is one with a conservative people and conservative one is more likely to be external efficacy than is a progressive one. Progressive people evaluate vote participation advertisements highlighting internal efficacy to be more favorable than do conservative people. When exposed to vote participation advertisements highlighting internal efficacy, progressive people participate more in political activities and the vote intention than conservative peopl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or conservative people, their external political efficacy partially mediates between their exposure to the advertisement and vote participation intention. However, for progressive people, any political efficacy was not found to mediate between the two variables.

한국어

이 연구는 투표 참여 광고의 설득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유권자의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라 투표참여 광고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2 (정치 적 이념성향: 진보 vs. 보수) × 2 (투표 참여 광고: 내적 효능감 메시지 vs. 외적 효능감 메시지)의 응답자 간 실험 설계(between-subjects design)를 이용하였다. 실험에는 서울과 경기 도 소재 남녀 대학생 총 239명이 참여했다. 분석 결과, 첫째로 진보적인 사람들은 내적 효능 감을 더 크게 지각했으며 보수적인 사람들은 외적 효능감을 더 크게 지각하였다. 둘째, 진보 적인 사람들은 내적 효능감을 강조한 광고에 더 호의적인 태도를 나타냈고, 보수적인 사람들 은 외적 효능감을 강조한 광고에 더 호의적으로 반응하였다. 셋째, 내적 효능감을 강조한 광 고에 노출될 때, 진보적인 사람들이 더 높은 정치참여 활동과 투표 의도를 보였고, 외적 효능 감을 강조한 광고에 노출될 때, 보수적인 사람들이 더 높은 정치참여 활동과 투표 의도를 보였다. 넷째, 보수의 경우, 외적 효능감이 투표 참여 광고와 투표 의도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진보의 경우, 예상과는 달리 내적 효능감이 매개 변수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연구 가설
  1) 투표 참여와 정치효능감
  2) 정치적 이념성향과 정치효능감
 3. 연구 방법
  1) 실험 절차
  2) 실험 자극물
  3) 측정 도구들
 4. 연구 결과
  1) 조작 점검
  2) 가설 검정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영화 Lee, Younghwa. 동국대 광고홍보학과 강사
  • 전승우 Chun, Seungwoo. 동국대 경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