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에 따른 창살문양의 조형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rmativeness of Lattice Patterns According to Visual Perception of Rudolf Arnheim

조정화, 한승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searching for possibility of design development according to cultural identity from looking fo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attice patterns of Changdeok Palace based on visual perception theories of Rudolf Arnheim. Changdeok Palace as the study target is a world heritage site designated by UNESCO. The traditional lattice patterns are diverse too. The analysis result from classifying the patterns into four items such as dynamics, spatiality, similarity, and continuity among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is like the next. First, dynamics of the Lattice patterns were maximized by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lope by diagonal lines of comb patterns and circulation of organic forms of bitwanjasal lattice patterns. Second, spatiality was strengthened by overlap of lines and surfaces in soseulbit kkotsal patterns. Ajasal patterns acted as a factor to increase spatiality by optical illusion. Third, about similarity, overall unity was taken from similarity of shapes and locations of yongjasal patterns. Ttisal patterns acted as a formative element to heighten a sense of balance from similarity of shapes and directions. Fourth, continuity acted to be perceived to look like bring lattice together by the directional nature of jungjasal patterns. In wanjasal patterns, continuity by rhythm acted as a factor to stimulate sight. Like these, the way Changdeokgung lattice pattern structured is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In result, if the brand design develops in a way the cultural identity as collateral on the basis of the lattice pattern motif with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it will be surely raise customer satisfaction.

한국어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토대로 창덕궁 창살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찾아 문화정체성에 따른 디자인 개발 가능성을 모색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인 창덕궁은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전통창살문양 또한 다양하다. 이러한 창살문양을 시지각 특성 중 역동성, 공간성, 유사성, 연속성의 4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살문양에서의 역동성은 빗살 문양(인정전, 대조전, 부용정, 영화당, 연경당)의 사선에 의한 경사와 빗완자살 문양(희정당, 대조전)의 유기적 형태의 순환에 의한 시지각적 특성으로 역동성이 극대화 되었다. 둘째, 공간성은 소슬빗꽃살 문양(인정전)에서 선과 면의 중첩으로 공간성이 강화 되었으며, 아자살 문양(희정당, 대조전, 낙선재)은 착시에 의해 공간성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셋째, 유사성은 용자살 문양(희정당)에서 형과 위치의 유사성으로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가져왔으며 띠살은 형과 방향의 유사성으로 균형감을 높여주는 조형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넷째, 연속성은 정자살 문양(내의원, 낙선재, 부용정, 연경당)에서 방향성에 의한 연속성으로 하나로 묶어 지각되도록 작용하였으며, 완자살 문양(대조전, 낙선재, 부용정, 연경당)에서는 율동에 의한 연속성으로 시각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처럼 창덕궁 창살문양은 구조적으로 시지각적 사고에 의한 구조 방식으로 조형화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정체성을 담보로 하는 브랜드디자인 개발에 있어 창살문양을 모티브로 시지각론에 입각하여 디자인을 한다면 소비자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상승 시킬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본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창살문양과 문화정체성
  2.1. 디자인과 문화정체성
  2.2. 창덕궁 창살문양의 종류 및 특징
 3. 시지각에 따른 창살문양의 조형성
  3.1.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視知覺)
  3.2. 시지각에 따른 창덕궁 창살문양
  3.3. 창살문양의 현대 디자인 사례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정화 Cho Jeong Hwa. 단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한승문 Han Seung Mun.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