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패키지디자인 평가모형을 활용한 실증 평가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iagnostic Evaluation applying Package Design Evaluation Model

한승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st consumer evaluations on package design proposals. Research study was based on past consumer surveys on the products currently on sale, which were selected subjectively by the market managers. The 'Sun-Cuttlefish' product as a study object, was evaluated its correlation and conformity with standard package design measurement from advance research. As a result, package it did not have definite distinction with its own brand's aesthetic impression or its reliability, but there were definite distinction with its attractiveness in case of proposal C, also with its uniqueness in proposal A. Color did not make any contrasts in all the package proposals with its uniqueness, but for its aesthetic impression, color seemed to make some distinction in the C proposal, attractive ness in the proposal A, and the reliability in the proposal C. Combining the brand and the color categories together, the proposal D was the most applicable design to be launched with its highest result in all components: aesthetic impression, attractiveness, reliability, and uniqueness in accordance. This corresponds to what the market managers previously selected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standard measurement that analyzes how the market managers and the consumers view the products; also as standard diagnosis which indicates problems in designs.

한국어

본 연구는 제품 개발 초기 패키지디자인 시안들에 대하여 경영진 각자의 주관적 선택과 결정에 따라 시판되어진 제품을 사후단계인 소비자의 설문을 통한 검증평가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 제품으로는 ‘해오징어’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비롯된 패키지디자인 평가모형을 활용하여 각 요인들 간의 비교분석과 두 집단간 평가의 일치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요인에서는 심미성과 신뢰성에서는 시안마다 큰 차이가 없었으나, 주목성에서는 C안, 독특성에서는 A안이 가장 뚜렷하게 낮게 나타났다. 컬러 요인에서는 독특성에서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심미성에서는 C안, 주목성에서는 A안 , 신뢰성에서는 C안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앞의 브랜드와 컬러 요인을 합한 결과, D안이 심미성, 주목성, 신뢰성, 독특성을 모두 합친 수치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나 제품으로 출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디자인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제품개발 초기 경영진이 결정했던 시안과 동일하게 일치함을 나타내었으며, 경영진이 결국 최적의 디자인을 선택하였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의 연구는 소비자의 시각과 패키지디자인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진단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디자인 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2.1. 디자인평가의 필요성
  2.2. 디자인평가 및 척도개발에 관한 선행 연구
 3. 연구모형과 연구문제 설정
  3.1. 연구모형
  3.2. 연구문제
 4. 실증평가 연구
  4.1. 자료수집 및 분석
  4.2. 측정방법
  4.3. 자료분석
  4.4. 각 시안별 브랜드의 심미성, 주목성, 신뢰성, 독특성 비교분석
  4.5. 각 시안별 컬러의 심미성, 주목성, 신뢰성, 독특성 비교분석
  4.6. 각 시안별 브랜드, 컬러의 심미성, 주목성, 신뢰성, 독특성 종합 비교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승문 Han Seung Mun.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