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양시 설화의 내용과 현실 인식

원문정보

The contents and Awareness of a Reality in the Folk Tales of the Goyang city

조상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examine folk tales from the region around the city of Goyang and Haengju Mountain Fortress. For this purpose, Chapter 2 of this paper reviews the possible sources of the “Legend of Aprons,” a folk tale about civilian women carrying rocks in their aprons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The Korean word for an apron is haengju chima, the first part of the word being a homophone with the name of the fortress, and the latter part meaning “a skirt.” For this reason, some link the folk tale to the victorious battle at the namesake fortress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in the 16th century (Haengju daecheop), and others suggest that the word haengju came from haengja, meaning a Buddhist ascetic. The theory associating the word “haengju” to the victory at Haengju Fortress has its root on folk etymology, and it has been proven wrong by the presence of the particular word in a book written by the Joseon-Dynasty scholar Choe Se-jin decades before the battle. Chapter 3 classifies the folk tales from the region into four types, and examines how the contemporary reality was understood in these stories, which contain people’s wishes for victory in the Imjin War against the Japanese; popular consciousness in the period of dynastic transition; frustration of the people’s will; the legend of the Mighty Baby (agijangsu); and the people’s resigned or pioneering attitude toward destiny. Finally, Chapter 4 describes the significance of the Tale of Victory at Haengju Fortress, and proposes ways to use the region’s folk tales in the modern context.

한국어

본고는 고양시와 행주산성 주변 설화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고양시 설화의 현실인식 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설화를 4가지로 분류했는데, “임란 승리를 위한 민중 염원 표출, 왕조 교체기의 민중 의식, 민중의지 좌절, 아기장 수, 천명 순응/개척의 민중의식” 등이다. 특히,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민중들은 임금, 조정대신, 정규 군들을 믿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장수나 정규군들이 하지 못했던 것을 노파가 등장하여 민중들을 도와주어 무사히 승리했다는 것은 민중승리 를 암암리에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또, 조선 후기에는 천명을 거스르더라도 각자의 의지에 의해 살아남 은 것이 이야기의 주이다. 이는 시대가 후대로 갈수록 천명에 대한 인식 이 달라짐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Ⅲ장에서는 행주대첩 설화가 갖는 의미와 고양 설화를 어떻게 현대적 으로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서술하였다. 현재 고양시는 설화를 바탕으 로 한 스토리텔링을 하면 새로운 형태의 마을을 조성할 수 있다고 본다. 바로 공양왕과 관련이 있는 “어침, 대궐고개, 왕릉골”과 중이 거쳐하 던 절 등의 경로를 묶어 산책로(둘렛길)를 만들고, 그 곳마다 작은 건물 을 세워준다면 ‘이야기가 있는 산책로’로 멋지게 조성될 듯하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며
 Ⅱ. 고양시 설화의 현실인식
 Ⅲ. 고양시 설화의 현대적 의미와 활용
 Ⅳ. 맺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상우 J0, sang-woo. 단국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