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 日本學

고희동의 《양류관음도(楊柳觀音圖)》와 역사화 ー 구로다 세이키의 《옛이야기》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ー

원문정보

Heedong Ko’s “yangryu gwaneumdo” and historical painting ― Focused on the relevance with Kuroda seiki’s “old story” ―

최유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eedong Ko, the Korea’s first western-style painter, is a pioneer in establishing the paintings and writings association, led the modern art in Korea. But his choice, he give up the western painting return to the oriental painting, even he went to Japan to study as a government student, created a more narrowly Heedong Ko’s position, so that results in his work were produced by oriental painting rating decreases. However, Heedong Ko, were dispatched Joseon’s first foreign student as a officials status, received a special treat of Kuroda Seiki, the head of the tokyo art school a western-style painter. At this time Heedong Ko receive advice from him on what he should do, returning to Korea. It is remarkable Heedong Ko was committed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rt by the art organization and the paintings and writings association, almost similar organizations, hakubakai was organized by Kuroda Seiki, and tried to historical painting. Among them, the “yangryu gwaneumdo”, produced using a realistic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nd composition to the yangryu gwaneumdo, the own buddhist paintings form Koryo Dynasty, even though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Korean painters, was a new historical painting borrows some of the composition techniques of “old story” of Kuroda Seiki.

한국어

고희동은 관료신분으로 일본에 관비유학까지 다녀와 한국최초의 서양화가가 되었다. 하지만 얼마 후 그는 서양화를 포기하고 동양화로 회귀해 버렸고 그러한 그의 선택은 한국미술의 선각자로서의 자각도 열정도 희박하였다고 비판과 더 불어 동양화로 제작한 그의 작품도 저평가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하지만, 『동아일보』창간호삽화와 《양류관음도》 등 동양화로 제작한 작품을 살펴볼 때, 그의 동양화로의 전환은 회귀가 아닌 침체된 한국미술을 발전을 위해 동서양의 기법을 모두 아우르는 새로운 미술창출을 위한 적극적인 방향전환이었다고 평 가할 수 있다. “그림에 있어서는 동서양이 다르지 아니하”며, 한국미술의 발전을 위해 서양 화기법 수용의 당위성을 역설한 고희동은 고려시대의 독자적인 불화양식인 양 류관음도에 서양화의 사실적 기법과 구도를 사용한 새로운 역사화, 《양류관음 도》를 완성시켰다. 이 작품을 그의 스승, 구로다 세이키의 대표작, 《옛이야기》의 구도의 일부를 차용하여 조선인의 정서에 맞는 역사화로 재창출하기 위한 고희 동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본다.

일본어

韓国最初の西洋画家という名誉ある称号で一生をいきていた高羲東。彼は書画協会 の設立を通して韓国近代美術の礎石を築き上げた人という評価と同時に日本へ留学 までいって西洋画を学んだ先覚者として余りにも少ない作品と余りにも早い西洋画 の放棄と東洋画への回帰によって無責任な知識人という叱責を受けなければならな かった。 しかし、彼が帰国した1915年の韓国は西洋画に対する理解がないに等しかったし、 ちゅんとした美術学校は勿論、西洋画を展示する機会さええられなかった状況のな かで、西洋画と東洋画を会わせた書画協会の発起したという点だけでも彼が韓国美 術に与えた貢献はすくなくない。さらに高羲東は《楊柳観音図》や󰡔東亜日報󰡕創刊表 紙挿絵などでみられるように西洋画の技法を取り入れた新たな東洋画を作り出そうと した。 それは彼が留学していた1910年頃、日本の洋画界は黒田清輝を中心に日本の神話や 歴史をモティーフにした歴史画が流行っていたことと無関係ではないと思われる。岡 倉天心を中心にした「日本美術院」は没線描法, 即ち朦朧体を使い、インドや中国の神 話や歴史、仏教を主題にした歴史画を制作に注意を注いでいだ日本の美術界の動向に 新しい可能性を見つけ出したと思われる。このような意味で黒田の《昔語り》の構図の 一部を借りて完成した高羲東の《楊柳観音図》は高句麗古墳壁画の伝統を生かして󰡔東 亜日報󰡕の創刊記念表紙画の制作したように、高麗時代の独自的な様式である楊柳観 音図に西洋画の写実的な技法を取り入れた新しい風俗画的な歴史画と見なしてよいと 思われる。

목차

<要旨>
 Ⅰ. 서론
 Ⅱ. 본론
  1. 구로다 세이키의 미술제도화와 고희동
  2. 동경미술학교의 역사화 교육과 고희동의 역사화의 시도
  3. 고희동의 《양류관음도(楊柳觀音圖)》와 수월관음
  4. 고희동의 《양류관음도(楊柳觀音圖)》와 구로다 세이키의 《옛이야기》
 Ⅲ. 맺은 말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최유경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 근대일본문화사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