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동아시아 문화의 전승과 지의 교류 - 동북아 신화에 나타난 죽음과 타계관

몽골구비문학에 나타난 죽음관 ー 신화, 영웅서사시를 중심으로 ー

원문정보

The View of Death in Mongolian Oral Literature ― Focusing on Myth and Heroic Epic ―

노로브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ngolian people’s view of death, namely, the awareness and the emotion about death that Mongolian nomads had held for a long time, and the philosophical ideology are minutely reflected within the texts of Mongolian mythology and heroic epics. First of all, in the Mongolian creation myth, the origin of human life and death is being considered to have been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creation of a human being. In the meantime, a cause that a human being came to face death is being introduced with two types such as what lifespan had been fixed from the time of creation in a human being, and as another thing saying that a human being came to be unable to have eternal life by a negative creator deity. Also, heaven becomes a source of a human being as well. A human being is the creation of the heaven. Thus, what a person’s ascending to heaven after being dead is being understood as what a human being returns to the original place. Through this view of death, the Mongolian nomads’ method and thinking of traditional life can be confirmed as saying that a human being comes back to Mother Nature in the wake of making the unified life with Mother Nature. Moreover, a Mongolian’s view of soul is characterized by what many spirits exist in a person. These souls ever exist outside the body in the form of animal and plant. It is being believed that the master of soul comes to be finally dead completely only when these are dead. This idea can be estimated to have been reflected Mongolian people’s wish for extending the given lifespan or overcoming death through the external soul.

한국어

몽골인들의 죽음관, 즉 죽음에 대한 인식과 감정, 세계관이 몽골의 신화 및 영웅서사시 텍스트에 다음과 같이 반영되어 있다. 인간의 삶과 죽음은 창조와 동시에 이루어졌는데, 인간이 죽음을 맞게 된 이유는 인간이 창조될 때부터 수명이 정해져 있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인간이 영생할 수 있었지만 부정적인 다른 창조신에 의해 영생할 수 없게 되었다는 두 가지 형태이다. 하늘은 인간의 발원지가 되기도 하고, 인간은 하늘의 창조물이기 때문에 사람이 죽어서 승천하 는 것 즉 인간이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으로 죽음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곧 대자연과 일체화된 삶을 살다가 대자연으로 돌아가던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사고를 확인할 수 있다. 인간은 영혼과 육체의 결합물이며, 더 나아가 한 사람한테 여러 영혼이 있다 고 본다. 이 영혼들은 동물과 식물의 형태로 육체 밖에서 존재할 수도 있고 이들이 죽어야 영혼의 주인이 비로소 죽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념은 외재적 영혼을 통해서 주어진 수명을 연장하거나 죽음을 극복하려는 몽골인들의 소망 의 반영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일본어

本稿はモンゴル人の死生観、即ち死に対する認識や世界観などをモンゴルの神話及 び英雄叙事詩テクストを通し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 モンゴル人は、人間の生と死は人類の創造とともに発生したものであり、人間が死 を迎えねばならなくになった理由は、創造される時から人間の寿命が定まっていたと いう考え方と、もう一つは、そもそも人間は永生する存在であったが、他の否定的な 創造神によって永生できなくなったという考え方を持っていた。また、天は人間の発 源地、即ち人間は天の創造物であるため、人間は死んでから昇天するもの、即ち人間 の元来の座に戻るというふうに人間の死を理解していた。ここで人間は大自然と一体 化した生を過ごし、そして大自然に戻るという生き方や思考などを確認することがで きるのである。さらに、人間は霊魂と肉体の結合物なので、一人の人間には様々な霊 魂が宿っていると考えられてきた。この霊魂などは、動物と植物の形として肉体の外 においても存在することができ、これらが死んでからこそはじめて霊魂の持ち主も死 ぬことになると考えられていたのである。このような観念は、外在的な霊魂を通じて 人間の寿命が延長できるということで、死を何とか克服しようとするモンゴル人の所 望の反映であると言えよう。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몽골신화에 나타난 생(生)과 사(死)
 Ⅲ. 몽골신화에 나타난 영혼관
 Ⅳ. 맺음말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노로브냠 단국대 몽골학과 외국어교육전담 조교수, 민속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