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A Review on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 For Evidence-Based Practices of the Korean Rehabilitation System

원문정보

교정교화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문헌분석 : 우리나라 교정교화사업의 증거기반 운영을 위해

Park, Jongha, Cheong, Jinseo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made a comprehensive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offender rehabilitation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policy. The review of conceptualization, underlying theory, and past studies of rehabilitation revealed sufficient evidence to claim that rehabilitation i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as opposed to its punitive counterparts. Some models of rehabilitative intervention such as Multisystemic Therapy (MST) and Faith- Based Programs have been proved to be particularly successful in reducing recidivism. The key element of the success appeared to be an individualized approach that considers each offender’s unique pathways to criminal behavior and improves his/her life both internally and environmentally. As the social learning theory posits, it is crucial that offenders change their cognitive processes in a positive direction, which is what must be secured by any rehabilitation program to be successful. To this end, scholars and practitioners need to have a stro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sponsibility to keep administering long-term individualized tactics, which proved not only effective but even more efficient than short-term temporary expedient, particularly prevalent in Korea. This way the evidence-based practice of rehabilitation is to be settled in Korea in spite of public fear against softness on crime.

한국어

본 연구는 교정교화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국내외 실증연구를 광범위하게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정교화사업이 성공적으로 뿌리내리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교정교화의 개념적 발달과정과 이론적 토대에 대해 살펴보고, 교정교화사업의 유형과 범죄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한 결과, 처벌위주의 정책에 비해 교정교화사업이 훨씬 효과적인 대안임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운데서도 다체계 치료법(Multisystemic Therapy : MST)과 종교기반 프로그램(Faith-Based Programs) 등이 재범률(재복역율) 감소에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드러났는바, 이와 같이 효과적인 정책들의 공통점은 범죄자 개인사에 대한 탐구를 통해 개별 특성을 파악한 후 심리적이고 환경적인 치유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 즉 개별화 접근이 핵심이었다. 사회학습이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교정교화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범죄자의 사고방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했는바, 이를 위해서는 학자들과 교정행정관들에게 장기적 관점에서 개별화된 전략을 지속 수행할 수 있는 깊은 지식과 강한 책임감이 요구되었다. 비록 우리 국민의 정서가 범죄에 관대한 것을 매우 꺼려하지만 이에 편승해 단기적이고 임시적인 처방에만 의존하는 접근법은 피해야 하며 반드시 서구와 같은 증거기반 운영이 정착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I. INTRODUCTION
 II. CONCEPT AND THEORY OF REHABILITATION
  1.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2. Effective Theory behind Successful Rehabilitation
 III. SUCCESS AND FAILURE OF REHABILITATION
  1. Brief History of Rehabilitation Research
  2. Rehabilitation (Intervention) Tactics
  3. Offender Characteristics
 IV. CONCLUSION
 ≪참고문헌≫
 

저자정보

  • Park, Jongha Ph.D. Candidate, University of Florida
  • Cheong, Jinseong 정진성. Associate Professor, Soonchunhya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