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소년원에서의 회복적 대화모임 실천 이야기

원문정보

Restorative Education Cases in a Juvenile Training School

한영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uvenile training school restricts the freedom of young offenders, thus produces lots of stressful situation. The school enforces them to share all places and does not allow any privacy. Inmates are all adolescent. Difference of Age, IQ, Staying period in facility and physical strength makes power discrepancy. They consume psychological energy to pay attention to each others. Stress is gradually accumulated and conflicts erupt like a volcano. In a juvenile training school conflict is normal, thus we need a new approach to channel this energy from destruction to rebuilding. It is called conflict transformation(Lederach 2014; Zehr 2015). Nowadays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point out the limitation of retribution justice, and introduce the restorative justice as alternative solution. The juvenile training school should aim not to achieve the deterrence of offenders but to restore the relationship among victims and offenders. It will lead both of them to maturation beyond expectation. This essay introduces definition of restorative justice and the actual restorative circle cases that executed in the Seoul Juvenile Training School. Restorative circles were done in two ways. One is the cases that happened in bound of the school, the other is the cases(crimes) that committed before transferred to the this school. This essay was proceeded without recording the dialogue not to hinder the rapport. After the cession the dialogue was summarized. Thus there is a limit that is not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한국어

소년원 학교는 자유가 제한되는 공간이며, 스트레스가 많은 곳이다. 강제적으로 모든 것이 공개 및 공유되고 자신만을 개인공간은 없다. 사춘기의 청소년들이 생활하고 있다. 연령, 체격, 지능, 수용기간 등의 차이로 권력의 불균형이 상시 존재한다. 학생들은 끊임없이 상대방의 눈치를 살피면서 심리적 에너지를 소모한다. 인간이 존재하는 곳에서의 갈등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소년원 환경에서는 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므로 갈등을 억제하려는 접근이 아니라 갈등을 학생들이 성장하는 계기로 바라보는 갈등전환적 접근방식이 필요하다(레더락 2014; 제어 2015). 최근 응보적 사법(retributive justice)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한 대안으로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가 소개되고 있다. 회복적 정의는 가해학생에 대한 징계가 목적이 아니라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회복을 목적으로 하고, 갈등이라는 소재를 활용하여 보다 높은 성장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년원에서 회복적 대화모임을 진행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회복적 대화모임의 철학적 기반인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회복적 대화모임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소년원 학교 내에서 발생한 갈등을 대상으로 한 소년원 내에서의 회복적 대화모임과 흔하지는 않지만 소년원 학교에 들어오기 이전의 범죄 피해자와의 만남을 통한 피해자 가해자 대화모임이다. 본 논문은 회복적 대화모임을 진행할 때 대화내용을 녹음하지 않고 주요 발언 내용을 현장에서 요약하였다. 따라서 근거이론에 따른 사례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점을 가진다.

목차

〔국문요약〕
 I. 들어가는 말
 II. 서울소년원에서의 실천 사례
  1. 소년원의 심리적 환경과 회복적 대화모임의 필요성
  2. 서울소년원 내에서의 회복적 대화모임 실천사례
 III. 마무리 하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영선 Han, Youngsun. 법무부 서울소년원 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