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was a review and analysis of published articles and theses in Korea on Interven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 comprehensive search of databases was undertaken(Korean studies, Riss4u). using research terms such as“diabetes", “diabetes and education” “diabetes and exercise”, “diabetes and intervention”, “diabetes and education or exercise.” 53 stud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ype, application method, dependant variable and effect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8 intervention type and 113 dependant variables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used applied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glycometabolism, self-care, self-efficacy the most frequently used dependant variable. The effects of dependant variables no effect or were different effects. Further reserarch in the digital convergence should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Structured content and exercise and the effect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including the psychological variable effect.
한국어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게 적용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국내 연구논문의 내용을 분석한 연구이 며, 검색은 Riss4u, 국회도서관, 국립 중앙도서관 등을 이용하였다. 검색어는 “당뇨병 환자”, “당뇨병환자와 교육”, “당뇨병환자와 운동”, “당뇨병환자와 중재”, “당뇨병환자와 교육 또는 운동”이었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53편의 논문 을 중재프로그램의 적용방법 및 효과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유형은 총 8가지이며 사용된 효과변수는 113가지 이다. 가장 많이 사용된 유형은 교육과 상담을 동시 적용한 경우 이며 당 대사, 자가 간호, 자기 효능감이 자주 사용 되는 종속변수였다. 중재프로그램의 적용방법은 다양하였으며, 효과변수의 결과는 효과가 없거나 상이한 경우도 있었 다. 향후 중재프로그램의 기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 융합 시대에 적합한 체계적인 내용 구성 및 운동이 적 극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사회 심리적 변수를 포함한 효과변수의 선정 및 효과변수 측정법에 대한 고려 가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선택기준
2.3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3.2 중재프로그램
3.3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변수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