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고마(高麗) 군 건군(建郡) 1300년에 즈음한 고마약광(高麗若光)의 의미

원문정보

1300 Years Ago The Foundation of Goma (Goguryeo)-Gun and Goma Yakgwang (ancestor of Goma Clan in Japan)

송완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eople in Korea and Japan understand that their mutual recognition is deteriorating because of the inherent historical awareness of hostilities between their countries throughout history. However, if you examine the temporal spa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ancient times, a structure of exchange and coexistence in not a few cases is more typical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of the modern era. In particular, next year, 2016 will mark the 1,30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Goma (Goguryeo) -gun’ in Musashi Province. When the East Asian world was reorganized in the late 7thcentury, the empire of the Korean peninsula collapsed, generating migr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se migrantsy were as signed to th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called Goguryeo, Baekje and Silla by the royal court of Nara in Japan. In particular, migrants from Goguryeo worked on the development and reform of the Province of East(東國) in ancient Japan. As a result, Goma-gun was formed as a residential community of migrants from Goguryeo, led mainly by a person named ‘Goma Yakgwang’. This paper explain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ndation of ‘Goma-gun’ 1,300 years ago ‘Goma Yakgwang’ in terms of several characteristies. This research ultimately clarified that the existence of those who came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Archipelago was multi-faceted and multi-layered.

한국어

현재 한일 양국 국민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상호인식이 악화된 배경에 양국의 과거사를 둘러싼 역사 인식의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고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한일 간의 시간적 공간을 고대로 돌리면 근대 이래의 대립과 갈등보다는 교류와 공존의 구조로 일변하는 케이스가 적지 않다. 특히 내년인 2016년에는 무사시(武蔵) 국에 ‘고마(高麗) 군’이 성립된 지 1300년이 된다. 이를 감안하여 7세기 후반의 동아시아의세계의 재편과 함께 한반도 제국의 멸망과 함께 한반도 유민(遺民)이 발생했다. 이들은 나라(奈良) 조정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이름으로 지방 행정구역에 편제된다. 특히 고구려유민들은 동국(東國)을 중심으로 고대일본의 변경 개발에 나선다. 그 결과 고구려유민들의 집단거주지로 고마 군이 만들어지는데, 그 중심에는 고마약광이라는 인물이 존재했다. 다시 말해 고마 군 건군 1300년과 고마약광의 관련성이 깊음을 여러 이유를 들어 설명했다. 결국 이러한 작업을 통해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유입된 도래인(渡來人)의 존재가 다면적이고 중층적인 것임을 명백히 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
 Ⅱ. 동아시아세계의 재편과 ‘한반도 유민(遺民)’
 Ⅲ. 나라(奈良) 조정과 ‘고구려유민’-동국(東國) 개발-
 Ⅳ. 고마 군 건군 1300년과 고마 약광(若光)
 Ⅴ. 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완범 Song, Whan-bhum.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