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経伝集解』 鎌倉中期点의 仮名音注에 대하여

원문정보

The Kanaonchu in the Middle of Kunaichoshoryobuzo “Chun qiu jing zhuan ji jie” Kamakura

궁내청서릉부장 『춘추경전집해』 겸창중기점의 가명음주에 대하여

申智娟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anaonchu (仮名音注) in the middle of Kunaichoshoryobuzo “Chun qiu jing zhuan ji jie”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経伝集解”) Kamakura (鎌倉)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division of 16 groups being centered around exceptional instances. However, this study targets the group of Jia (假)ㆍYu (遇)ㆍXie (蟹)ㆍZhi (止)ㆍTong (通)ㆍCeng (曾)ㆍZhen (臻) owing to space limitations. The system represented in this material is in basic agreement with Sino-Japanese Kan’on. Some of the characteristics studied are as follows. 1) This material has just a few examples of mis-description and misreading. These are thought to be the result of adding the points normatively based on the Kunyomi (訓読み) of the Kiyoharas (清原) for generations under the authority of “Jingdian shiwen” (經典釋文). 2) Rhyme yu kaikou division 3 medial-ï (魚韻開口3等乙類) is, in principle, the ㋑ヨ type in Sino-Japanese Kan’on, which is yod. There are many cases of So (ソ) of Chokuon in tooth sounds division 2. This possible anomaly is because So (ソ) of Go’on became Syo (シヨ) with the reflection of the interflowing medial-i of medial-ï in the Kan’on.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corrected so that it can be written Fanqie (反切) and read as Syo (シヨ), owing to a number of characters orally read (Go’on yomi) as So (ソ) in the tooth sounds division 2 of the rhyme yu kaikou division 3 medial-ï. 3) “Chun qiu” (春秋), starting from Kong zi (孔子) in the fifth century B.C., has been brought into this material through “Chun qiu san zhuan” (春秋三傳) and “Du yu ji jie” (杜預集解). This has caused abnormal sounds and usages to be found sporadically in the Sino-Japanese Kan’on such as Ha (伯ハ)․Tatsu (汰タツ)․Tai (稅タイ). 4) In the case of Group zhi hekou (止攝合口字), two different usages of i/wi (イ/ヰ), other than the back tooth sounds and throat sounds, are mixed. Suwi (スヰ), Tsuwi (ツヰ), and Ruwi (ルヰ) are considered to designate the medial w of the original sound of the Chinese character and was used among the learned. 5) Although the zhun rhyme hekou medial-i (諄韻合口甲類), full of rhyme and having notation for a variety of sounds, were organized systematically in the periods of Insei (院政) and Kamakura, most of them are in the form of Hekou in this material. Although these are in the early stages of the notation of a variety of sounds to attempt to express faithfully the Hekou of the original sounds, it is interpreted in this material that these are traces resulting from the transition point of the draf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in the middle of Kamakura.

한국어

宮内庁書陵部蔵『春秋経伝集解』鎌倉中期点의 假名音注를 16攝으로 나누어 예외자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단 지면의 제한으로 용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假摂ㆍ遇攝ㆍ蟹摂ㆍ止摂ㆍ通摂ㆍ曾攝ㆍ臻攝만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본 자료의 假名音注가 나타내는 체계는 기본적으로 일본 漢音과 일치했다. 몇 가지 특징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1) 본 자료는 誤記․誤讀例가 적은 편이다. 『經典釋文』이라는 확실한 의거 자료를 가지고 清原家累代의 訓讀法에 근거하여 규범적으로 가점한 결과로 생각된다. 2) 魚韻開口3等乙類는 원칙적으로 일본 漢音에서 ㋑ヨ形으로 拗音形 표기인데, 歯音2等字에는 [ソ]로 直音形이 되는 例가 많다. 歯音2等字에서는 呉音처럼 [ソ]로 읽는 습관이 남아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呉音에서는 [ソ]였지만, 漢音에서는 乙類의 甲類에의 합류를 반영하여 [シヨ]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즉 魚韻開口3等乙類 歯音2等字는 [ソ]로 呉音讀되는 字가 많았기 때문에 그것을 바르게 잡기 위해서 反切을 쓰고 이에 따라 [シヨ]로 읽을 수 있도록 교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3) 『春秋』는 기원전 5세기 공자로부터 시작되어 ‘春秋三傳’과 『杜預集解』를 거쳐 본 자료에 이르고 있다. 이로 인해 [伯ハ] [汰タツ] [稅タイ] 등 일본한자음에서 일반적이지 않은 音과 용법이 散見된다. 4) 止攝合口字의 경우 牙喉音字 이외에도 [イ/ヰ] 兩表記가 混在되어 있다. [スヰ] [ツヰ] [ルヰ] 등은 중국원음의 介音w를 표기하려고 한 흔적으로 생각되며 일부 學識者 사이에서 시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5) 諄韻合口甲類의 경우는 混記가 많은 韻으로 院政期․鎌倉時代에 들어 체계적으로 정비되기 시작되었지만, 본 자료에서는 대부분 合口表記되어 있다. 이러한 표기는 원음의 合口性을 충실히 표기하려고 한 표기법상의 초기적 단계에서의 混記이지만, 본 자료는 鎌倉中期点으로 前代 底本의 移点에 의해 형태로 남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1. 연구 자료
  2. 연구 목적 및 방법
 Ⅱ. 本論
  1. 假摂
  2. 遇攝
  3. 蟹摂
  4. 止摂
  5. 通摂
  6. 曾攝
  7. 臻攝
 Ⅲ. 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申智娟 신지연. 히로시마대학 교육학연구과 문화교육개발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