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태원지>의 서사적 특징과 대중문화적 가치 - 게임 스토리텔링과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Popular Cultural Values of Taewonji With a focus on its similarity to the game storytelling

이명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aewonji for a fresh reading through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game storytelling. Taewonji displays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game storytelling, including the exploratory narrative of stage migration, storytelling about space, and alternative universes. Its core narratives relate to “drifting in the ocean and extermination of monsters” and the “conquest of Taewon and founding of Daeheungguk.” In the novel, the extermination process of monsters is similar to game storytelling, which involves acquiring items, getting attacked by enemies and responding to them, carrying out a quest, and moving to another place. Its conquest process is very similar to that of strategic simulation games, involving securing a base, forming power by fighting against enemies by stages, and expanding one’s territory. Taewonji assumes a fictional world called Taewon and fills it with the order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ts way of embracing the imagination of old novels and building fictional spaces is the same as the spatial storytelling style of games. Most RPG games, including the ones developed by Blizzard, construct fictional spaces according to the literary inheritance from The Lord of the Rings by Tolkien. The spaces of Taewonji are not entirely fictional spaces outside of historical and real contexts, but it is true that a fictional world called “Taewon” was created as an alternative universe of the times in a way that is similar to the spatial construction of games. Taewonji has narrati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game storytelling because it is a popular fantasy work, characterized by the playful building of a fantasy world, rather than a serious reading. Identifying with the protagonist in a fantasy world and enjoying one’s self in fantasy play provides a kind of comfort and escape window. When fantasy play remains an imaginary playful activity or is done for the simple pleasure, it is nothing but a daydream. In Taewonji, the author combines a social meaning, called Cheonmyeong, with a fantasy world, thus attempting to find internal satisfaction. That is, he repeatedly emphasizes the cause of Cheonmyeong as a strategy for inducing readers to immerse in the novel. In terms of the immersion process, the ideology may be a fiction that serves as a boundary between good and evil for the legitimate cause of the subject. Imagining an ideal world as the subject of good is to protect oneself from the violence of reality, in which the values that should be naturally observed are not observed, thereby constructing a fantasy to comfort oneself for being forced to live in reality.

한국어

이 논문은 <태원지>를 새롭게 읽기 위해 게임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것이다. <태원지>에는 게임 스토리텔링의 특징인 ‘단계 이동의 탐색 서사, 공간의 스토리텔링, 대안적 우주’가 나타난다. <태원지>의 핵심적인 서사는 ‘해양표류와 요괴퇴치’, ‘태원정복과 대흥국 건국’이다. <태원지>의 요괴퇴치 과정은 아이템을 획득하고, 적의 공격을 받고 대응하며 퀘스트를 수행한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게임의 스토리텔링과 유사하다. <태원지>의 정복과정은 거점을 확보하고 단계적으로 적과 싸워 세력을 형성한 후 영토를 확장하는 것이다. 이것은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방식과 상당히 흡사하다. <태원지>에서는 태원이라는 허구적 세계를 상정하고 그곳에 <삼국지연의>의 질서를 채워 놓았다. 이렇게 기존 소설에 나타난 상상력을 수용하여 허구적 공간의 구축하는 것은 게임의 공간 스토리텔링 방식과 동일하다. 블리자드의 게임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RPG 게임은 톨킨의 <반지의 제왕>을 계승하여 허구적 공간을 구성한다. <태원지>의 공간이 전적으로 역사와 현실의 맥락에서 벗어난 가상공간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게임의 공간 구성과 유사한 방식을 통해서 ‘태원’이라는 허구적 공간이 당대의 대안적 우주로 창조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태원지>가 게임 스토리텔링과 유사한 서사적 특징을 갖는 까닭은 이 작품이 진지한 독서물이라기 보다는 환상의 세계를 만들어가는 공상놀이의 성격을 가진 대중적인 판타지이기 때문이다. 판타지의 세계에서 주인공과 동일시하여 공상놀이를 하는 것은 일종의 위안과 도피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공상놀이가 상상력의 유희적 활동에 머물거나 쾌락을 위한 욕망의 분출로 끝나면 한낱 백일몽에 불과하게 된다. <태원지>에서는 천명(天命)이라고 하는 사회적 의미를 판타지 세계에 결합함으로써 자신의 내적 만족을 찾고자 한다. 즉, <태원지>에서는 몰입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천명(天命)이라는 명분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몰입 과정에 작용하는 이데올로기는 주체의 당위적 명분을 위해 선악을 구분하는 경계로 작동하는 허구일지 모른다. 자신이 선(善)의 주체가 되어 이상적 세계를 상상하는 것은 마땅히 지켜져야 할 가치가 지켜지지 않는 현실의 폭력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것이고, 현실 속에서 살아가야만 하는 자신을 위로하는 판타지인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태원지>에 대한 기존 해석과 논의의 출발
 Ⅲ. <태원지>에 내재된 게임 스토리텔링의 요소
 Ⅳ. <태원지> 서사의 유희성과 대중문화적 성격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명현 Lee, Myeoung-hyun. 중앙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