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원문정보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

양노열, 정민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 which can assess the elderly’s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at home in the three areas of independence, difficulty, and safety. Methods : A total of 360 elderly people aged 55 or older without physical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HA,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nalyzed. Of them, we calculated the convergent validity,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activity of the AHA and Korean-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and between each activity of the AHA and 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were examined. In addition, to test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between the group of general elderly and the group of elderly after a stroke was compared. Results :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within the range of .91 to .98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showed a range of .78 to .86. The convergent validity showed that the correlations of all sets of two activities with similar names or featu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The discriminant validity showed that the general elderly people performed daily activities at a higher level than the elderly after suffering a stroke in all areas (p<.01). Conclusion : The AHA is a suitable instrument that can assess the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at home of elderly people,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implementing interventions of training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ome modifications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정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수준을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 영역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장애가 없는 노인 36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71.2세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위해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수렴 타당도, 판별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수렴 타당도 산출을 위해AHA와 한국형 일상생활활동(Korean-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한국형 수단적 일상생활활동(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의 활동별 상관관계를 각각 알아보았고 판별 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일반 노인과 뇌졸중 노인의 수행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AHA의 영역별 내적 일치도는 .91~.98,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8~.86의 분포를 보였다. K-ADL, K-IADL과 AHA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명칭이 일치하거나 유사한 활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또한 판별 타당도 검증에서는 일반 노인의 수행수준이 모든 영역에서 뇌졸중 노인보다 유의하게높았다(p<.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AHA는 일반 노인의 전반적인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향후 재활분야에서 노인을 위한 일상생활활동 훈련, 가정환경개선 등의 중재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과정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내적 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
  2. 수렴 타당도
  3. 판별 타당도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양노열 Yang, No-Yul. 충남도립대학교 작업치료과
  • 정민예 Jung, Min-Ye.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