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감각통합 대처기술 부모교육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Coping Skills Parent Program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h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정희승, 유은영, 정민예, 박지혁, 이택영, 이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parent education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and coping skills for parents to nurture. After parental education participa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conducted with mothers Gwangju and Jeonju 20 people twice a week to target a total of seven sessions of four weeks. Research tool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arenting stress (Korean-Parenting Stress Index; K-PSI) and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 was used for tes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 After a parent education parenting str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ategories (p<.001). Influence on the child area has shown that most parenting stress the ‘reinforce parent’ impact on the parent area parenting stress is ‘attachment’ appeared to be the largest of its kind. Parenting Efficac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categories (p<.001). Conclusion : In this study, conducted by a parent education program have reduce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o nurture and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parenting efficacy.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감각조절장애를 동반한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자녀를양육하는 어머니에게 감각조절장애 증상과 대처기술에 관한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부모교육 참여 후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광주광역시와 전주시에 거주하는 ASD 아동의 어머니 20명이 대상이며, 부모교육내용은 연구대상자의 사전검사 자료 분석과 선행연구를 통해서 구성한 후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에적용하였다. 부모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KPSI)와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SPSS Version 18.0을 사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결과 : 부모교육 실시 후 부모양육스트레스가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아동영역의 ‘보상’이 가장 큰 변화로 나타났고, 부모영역의 ‘애착’이 가장 큰 변화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도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1). 결론 :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감각통합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ASD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부모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양육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2. 부모교육 프로그램
  3. 연구 도구
  4. 연구 절차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부모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
  2. 변화된 부모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의 비교
  3. 양육효능감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정희승 Chung, Hee-Seung.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작업치료학과
  • 유은영 Yoo, Eun-Young.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정민예 Jung, Min-Ye.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Park, Ji-Hyuk.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이택영 Lee, Teak-Young. 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지연 Lee, Ji-Yeon. 동남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