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nquires into what the principal purpose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Many universities newly instituted College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to improve in their scholarship texts.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considered that College Writing Education’s main genre is Academic Writing. However, contrary to the previous perspective, there are also different points of view toward College Writing Education. It is Expressionism in writing. Expressionism’s stance puts importance on individual’s introspection and self-reflection through writing. In Korea, the expressionism’s stance on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that it pursuits a combination of personal perspective and societal perspective joining with Academic Writings. Another angle on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viewing the writing education as a study of liberal art thinking. This notion is based on the contrary betwee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native writing education that native writing education accompanies liberal art thinking and introspecting with various studies of native classics. College Writing Education’s aim is divided into these three disparate concepts, but these concepts can be used together as well. Universities of Korea mostly combine the three stances and value all their scholarly Academic Writing abilities, Introspection, and Societal criticism. Above all, the perspective that needs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preparedness and response toward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centric society. The digital era’s writing leads us to look back upon the problems within writing subject, communication, and writing education. Despite the divergence of media, digital era’s college writing should place emphasis again on advancement of writing ability, students’ introspection towards their perspectives, and strengthening the insight of humanities.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우선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가 무엇인가를 탐색하고 있다. 대 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는 일차적으로 신입생 글쓰기 교육을 통해 전공 글쓰기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미국과 한국의 여러 대학들도 학생들이 대학의 학술 텍스트를 잘 쓰기 위해 대학. 글쓰기 교육을 도입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대학 글쓰기 교육의 주된 목표는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에 이와 다른 관점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도 있다. 그것은 표현주 의 입장으로, 글쓰기를 통해 개인의 자기 탐색, 자기 성찰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 점이다. 한국에서 표현주의의 입장은 학술적 글쓰기와의 결합을 통해 개인적 관점 과 사회적 관점의 조합을 추구하고 있다. 세 번째로 대학 글쓰기 교육을 인문학적 사고의 학습으로 보는 관점이 있다. 외국어 교육과 다르게 자국어 대학 글쓰기 교 육은 다양한 고전의 학습과 함께 인문학적 사고와 성철을 수반하기 때문에 인문 학적 교육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이렇게 다른 세 가지 관점은 서로 상이한 철학을 지니지만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국내 대학들은 대체로 이 세 가지 관점을 섞 어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술적 쓰기 능력과 자기 성찰, 사회적 비판 의식 모두들 소중하게 생각한다. 이보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더 중요하게 바라 보아야 할 관점은 지식 정보화 시대에 디지털 글쓰기의 도전과 대응이다.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는 쓰기 주체의 문제, 소통의 문제, 쓰기 교육의 문제를 다시 돌아 보게 한다. 디지털 시대 대학 글쓰기는 매체나 도구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여전 히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이 자신의 관점을 되돌아보고, 인문학적 자기 성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중요하다.
목차
1. 서론
2. 학술적 글쓰기에 관한 논의와 비판적 입장
3. 표현주의 관점과 비판적 문식성 교육
4. 지식 정보화 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