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정지용 시의 색채 이미지와 시 쓰기 의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color image and consciousness of writing poems of Jeong, Jiyong’s poetry

안상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s on color image and consciousness of writing poems of Jeong, Jiyong’s poetry. He achieved in the 1930's and had good sensual language especially using imagse. Readers can find that three main colorsblue, red, and white. In Jeong, Jiyong’s poetry, he used blue color not only traditional meaning but also modern meaning with physical sensibility. The Sea changed like a little lizard or a horse with blue color image. And the life, memory symbolized to fruits that are red. But they are disqualified from lifeworld so that poetic ego wants to represent them through fire, heat waves. And striking a light means poetic ego wants to meet something other world. And the last, poetic ego feels like itself useless as that is nothing but stranger, with ‘white hands’. But white color change its meaning during sitting opposite to death, fear. Then its meaning is promoted to a higher position.

한국어

30년대 모더니즘 시인 정지용은 다양한 색채어를 사용하여 감각적인 이미지를 구사하였다. 그간 양왕용, 이기서, 최동호, 박순원에 의해 정지용 시의 색채 이미 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본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푸른색, 붉은색, 그리고 흰색의 색채 이미지가 시인의 상상력의 구조와 시 쓰기 의식과 어떻게 관계 맺는지 다루 고자 한다. 정지용 시에서 중점적으로 쓰인 푸른빛은 바다와 산을 비롯한 자연공간을 드 러내지만, 한편으로 해당 공간은 바다와 고래, 채찍과 대나무 등의 이미지가 연결 되면서 운동성을 얻는, 근대적 자아에 의해 재구성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숭고의 대상이거나 안빈낙도를 즐기던 수신의 공간을 변형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붉은 빛의 경우 혈액, 발열 등의 생리적이고 물리적인 생명이 갖는 비극성을 뛰어넘어 ‘불을 밝히’는 과정을 통해 시적 자아의 내면과 다른 세계를 상상하는 이야기의 통로를 통해 시간경계의 무화를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흰빛은 순수지향성과 염결성을 통해 시인의 존재론을 그려내는 색채로 활용되고 있었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전통적 소재의 변용과 공간의 환상성 : 바다/산의 푸른빛
 3. 경계를 넘는 ‘불 밝힘’과 부재의 극복 : 불/꽃의 붉은빛
 4. 부정항의 수용과 재생의 존재론 : 손/옷의 흰빛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상원 Ahn, Sang-won. 삼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