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구지역 서비스산업의 고용유발효과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Employment-induced Effects of Service Industries in the Daegu Region

이춘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tical implication and analyze employment structure and employment-induced effects of service industries in the Daegu region by using the intra-industry tabl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mployment-induced coefficients of service sectors on the Daegu region are greater than those of manufacturing sectors. The results show that employment-induced coefficients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sector is greater than any other sectors. The next sectors that have high coefficients are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s sector, transportation sector, social work and health services sectors. The employment-induced coefficients of consuming expenditure among the final demand in Daegu region are greater than other metropolitan areas. The next areas that have high coefficient are Chungcheong province, Kyeongbuk province, South-eastern province, and Capital area. Comparison of the employment-induced coefficients in 2005 and 2011 reveals that there is a small difference, but they present similar patterns.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dustrial structure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sector and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s sector needs to be enhanced for inducing employment in service sector. Moreover, education sector and health and social work services sector needs to be supported for growing efficiently.

한국어

이 연구는 대구지역 서비스산업의 고용구조와 고용유발효과를 명확히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여 지역 서비스산업의 일자리 창출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역산업연관표에 의해서 실증 분석한 결과, 대구지역의 취업유발계수는 최종수요 항목에 따라 업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제조업에 비해 서비스산업이 훨씬 높았다. 대구지역 서비스산업의 취업유발계수를 보면, 도·소매업이 30.28명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음식점 및 숙박업이 27.72명, 운수업이 24.29명, 사회 및 기타 서비스업이 24.17명 등으로 높았다. 대체적으로 서비스산업이 제조업에 비해 크게 높았다. 최종수요 항목 중 소비지출에 의한 취업유발계수는 6개 권역 중 대구가 가장 높고, 그 다음 충청권, 경북지역, 동남권, 수도권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다 최근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2011년과 2013년 전국 산업연관표를 간접조사법에 의해 대구지역 산업연관표로 변환한 후 산업별 유발계수를 분석하였다. 대구지역 서비스산업의 2005년과 2011년, 2013년 노동유발계수를 비교하면,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대체적인 측면에서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음식점 및 숙박업 및 도·소매업의 유발계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운수업과 교육 및 보건서비스업, 사회 및 기타 서비스산업 등이 비교적 높았다. 따라서 대구지역 서비스산업의 고용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의 구조 고도화와 더불어 교육과 보건업, 사회 및 기타 서비스산업의 효율적인 육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대구 서비스산업의 고용구조
 Ⅲ. 대구 서비스산업의 고용유발효과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춘근 Lee, Choon-Keun. 대구경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대구경북학센터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