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록에 나타난 단종시대 효행장려정책의 특징과 강원도 영월지역 효충문화 연구

원문정보

King Dan-Jong’s filial piety policy and a movement of filial piety and patriotism in Yeongwol, Gangwon

김덕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ilial piety and patriotism was an ideological backbone of the Chosun Dynasty. Love and respect in a family, which are the key aspects of filial piety, is directly linked to patriotism in a national level. This patriotism became the key component to maintain order in the nation. In some cases, one even sacrificed his/her own life to conduct filial piety and/or to have patriotism for his/her parents and/or the country, respectively. King Dan-Jong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most unfortunate kings in Chosun Dynasty. His uncle forced him to abdicate, and took his place as King Se-Jo, and exiled Dang-Jong to Yeongwol, Gangwon. King Dan-Jong was later murdered and buried in Yeongwol. Many Korean people these days acknowledge Yeongwol with King Dan-Jong’s sad story. Dan-Jong lost his father, King Mun-Jong, when he was only 12 years old and became the sixth king of the Chosun Dynasty. Therefore, he spent very little time with his father and missed him a lot. His filial piety policy reflected his feelings about his father. During his rule of the country, he rewarded many people who conducted filial piety, although he only ruled the country for 3 years. Yeongwol also contains a nationally known place, called Gossi Cave. During Japanese rule, Go brothers and their families fought against the Japanese army and took refuge in this cave. These two unrelated stories have caused Yeongwol to be known asa county of filial piety and patriotism. This county even holds festivals on filial piety and patriotism. The present study discussed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ongwol that caused this county to become a famous place for filial piety and patriotism.

한국어

효와 충은 5백년 이상 조선왕조의 수명을 지탱한 원동력이다. 가정에서의 사랑과 공경이 나라에 대한 충으로 연결되면서 나라의 질서가 확립되었다. 때로는 목숨까지 희생하면서 효와 충을 실천하였다. 부모를 위한 헌신, 봉사, 희생이 효라면 그것이 확장하여 나라를 위한 것이라면 충이라 했다. 여기서는 단종과 그가 유배 떠났던 영월지역을 통해 이를 알아보았다. 조선초 왕조의 기틀을 다지고 문화전성기를 구가한 군주로 세종대왕을 말한다면, 그 손자 단종은 불운한 임금이었다. 숙부의 왕위 강탈로 한순간 임금의 자리를 빼앗긴 것도 모자라 유배와 사약까지 받는 역적의 신세가 되었다. 유배지 영월을 단종 애사(哀史)로 자리매김한 사유다. 영월의 또 다른 명물 고씨동굴도 있다. 흥미로운 것은 단종과 고씨동굴, 모두 효와 충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어린 단종은 대단한 효자로서 비록 어린 나이였지만, 자신이 못다한 효행을 적극적인 효행자 포상정책으로 당대 효자들을 기리었다. 고씨동굴은 의병출신으로 효자이자 충신이었던 고씨 형제의 이야기가 서려 있다. 단종의 무덤 장릉과 고씨동굴은 영월의 명소로서 비록 시대를 달리하지만, 지역의 문화 이미지를 효와 충으로 특성화하는데 기여한 바가 크다. 이런 효와 충을 기반으로 하는 영월지역은 이를 축제로 기념한다. 이 논문에서는 효충을 기리는 영월지역의 특성을 단종의 효행장려정책과 영월출신 효행자를 통해 살펴보려고 했다. 이를 위해 왕조실록은 주요한 자료가 되었다. 오늘날 효와 충을 지역문화제로 기리는데 따른 이론적, 역사적, 사상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작업이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말
 2. 단종의 슬픈 역사와 그 후
 3. 단종시대 효행자 포상과 효문화 장려책
  (1) 부친 문종의 효행사업을 계승한 효자 단종
  (2) 효행 사례와 포상제도
 4. 영월이 낳은 효충문화
  (1) 실록에 기록된 효자
  (2) 지방지에 기록된 효자와 충신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덕균 Kim Duk-kyun.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