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by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on the Service Quality

송기영, 안원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which is composed of job itself, work place condition, reward, workload, social awareness by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on the service quality and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of person assistance for the disabled, finding ways of enhancing job satisfaction in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is purpose, total 218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trait of sociology of population and general trait, job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the cor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n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al assistant’job itself, reward, had a positive impact on service qualit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needs to be a expansion of education program for the job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Secondly, in relation to the reward of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the improvement of wage structure is request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자체, 근무환경, 보상, 업무량, 사회적 인식으로 구성된 직무만족 에 대한 변인을 측정하여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인식하 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북부, 경기 북부 지역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노인복지센터, 장애인종합복지관, 복지재단 등을 통하여 장애인활동지원기관 소속 활동보조인 22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최종 218명의 설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조사결과로는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인구사 회학적 및 일반적 특성, 직무만족, 서비스 질의 수준,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의 상관관계,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의 하위변수인 직무자체, 보상이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장애인 활동보조인이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것과 장애인활동보조인의 보상과 관련하여 급여체계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장애인활동지원제도
  2. 직무만족
  3. 서비스 질
  4.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분석 자료
  2. 측정도구
  3.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신뢰도 분석
  2. 조사 대상자의 특성
  3. 주요 변인의 조사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송기영 Keeyoung Song. 정회원, 서정대학교 사회복지행정과
  • 안원철 Wonchul Ahn. 정회원, 서정대학교 사회복지행정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