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Literature Review on the Hwayangjeok in the Royal Cuisine of Joseon Dynasty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 assorted vegetables with beef on skewers called Hwayangjeok recorded in 16 Joseon dynasty (1392-1909) royal palace studies. The ingredients used in Hwayangjeok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into 35.2% Hwangjeok(黃炙) & Jabjeok((雜炙), 16.7% Hwangjeokhwayangjeok(黃炙花陽炙), each 11.1% Saengboghwayangjeok(生鰒花陽炙) & Lagjehwayangjeok(絡蹄花陽炙), 9.3% Eohwayangjeok(魚花陽炙), 5.6% Donggwahwayangjeok(冬苽花陽炙), each 3.7% Cheonyeobhwayangjeok((千葉花陽炙) & Yanghwayangjeok1(羘花陽炙), each 1.8% Gyelan-eoeumjeok (鷄卵於音炙) & Ablanhwayangjeok(鴨卵花陽炙). Through this study, through new lighting and menu development for Hwayangjeok used as a basis for hope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한국어
조선시대 의궤 16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화양적(花陽炙)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황적과 잡적이 어우러진 화양적이 35.2%로 가장 높았으며, 황적화양적 16.7%, 생복화양적(生鰒花陽炙),과 락제화양적(絡蹄花陽炙) 이 각각 11.1%, 어화양적(魚花陽炙) 9.3%, 동과화양적(冬苽花陽炙) 5.6%, 천엽화양적과 양화양적(羘花陽炙)이 각각 3.7%, 계란화양적과 압란화양적이 각각 1.8%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화양적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 개발을 통해 한식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느름적과 어음적
2.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화양적의 종류
3.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화양적의 종류
Ⅳ.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 화양적(花陽炙)
- 황적(黃炙)
- 잡적(雜炙)
- 생복화양적(生鰒花陽炙)
- 락제화양적(絡蹄花陽炙)
- 어화양적(魚花陽炙)
- 의궤(儀軌)
- 천엽화양적(千葉花陽炙)
- 양화양적(羘花陽炙)
- 동과화양적(冬苽花陽炙)
- 압란화양적(鴨卵花陽炙)
- 의궤
- 조선시대
- 궁중음식(宮中飮食)
- Hwayangjeok(花陽炙: Beef and Vegetable Brochette)
- Hwangjeok(黃炙)
- Jabjeok(雜炙)
- Saengboghwayangjeok(生鰒花陽炙)
- Lagjehwayangjeok(絡蹄花陽炙)
- Eohwayangjeok(魚花陽炙)
- Donggwahwayangjeok(冬苽花陽炙)
- Cheonyeobhwayangjeok((千葉花陽炙)
- Yanghwayangjeok(羘花陽炙)
- yelan-eoeumjeok (鷄卵於音炙)
- blanhwayangjeok(鴨卵花陽炙)
- Euigwe(儀軌)
- Joseon dynasty
- Googjungeumsik(宮中飮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