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논어』에서 學의 의미

원문정보

The Meaning of Science(or learning :學)' in analects

『논어』에서 학의 의미

임헌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s aim is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science(or learning:學)' in analects. Confucius said, " Is it not pleasant to learn with a constant perseverance and application?"(1:1). and also said, "at fifteen, I had my mine bent 'learning(or Science:學)'on learning, At thirty, I stood firm, ... At seventy, I could follow what my heart desired, without transgressing what was right." Confucian analects's key concept is jen(仁). Confucius's concept of human path is realization of humanness. Confucius reestablished jen as universal Virtue. The Meaning of learning(Science) in analects have 1) acquiring new knowledge, 2) humanitas (paideia, artes liberales), and 3) 'learning to become a sage(聖學)'. Confucius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mind & it's nature. What He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human nature. An accordance with this human nature is called path of human duty. Confucian analects's aim is to articulate the ideas and methodology of 'learning to become a sage' based upon his saying. Confucius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mind & it's nature. What He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human nature. An accordance with this human nature is called path of human duty. Confucius's concept of human path is realization of humanness.

한국어

學의 綱領으로 시작하는 『논어』는 15세에 學에 뜻을 두고, 평생 好學者로 자임했던 공자의 學問論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논어』 및 공자의 學字에 대한 연구는 그 용례를 識, 效, 覺 등으로 분석하면서 讀書와 篤行으로 크게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이 글은 기존의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면서, 하나의 보완의 측면에서 학문의 분화와 그 대상과 연관하여 學의 의미를 다시 구성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논어』에서 말하는 學이란 그 대상과 목표와 연관하여 볼 때, 技術知의 획득을 목표로 하는 器學, 교양과 인격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인문학, 그리고 궁극적인 도의 인식과 체득을 목표로 하는 道學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器學이란 인간이 자연 가운데 삶을 영위하는데 일차적으로 요구되는 衣食住를 공급하기 위해 발전시켜 온 기술로서, 공자는 여기에 해박하였지만 그 한계를 명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논어』에 오늘날 인문학으로 규정할 수 있을 성질의 學의 의미가 있는데, 그것은 곧 六經 혹은 六藝의 인식과 체득으로 인간적인 도리를 함양 훈육하는 것이다. 공자는 주로 이러한 학에 종사하고(六經刪定), 이러한 학으로 제자들을 가르쳤다. 그런데 공자가 궁극적으로 추구한 학은 궁극자(道 혹은 天)의 인식과 체득을 목표로 하는 것이었는데, 공자는 평생 이러한 궁극적인 학은 좋아한다고 말하였다. 『논어』에 나타난 이러한 여러 학들은 인간의 삶과 연관한 총체성 속에서 수단-목적이라는 상관개념으로 함께 논의할 때 그 본래적 의미와 한계가 명확히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I. 서론
 II. 技術知의 탐구(器學)
 III. 인문교양(人文學)
 IV. 道學과 好學
 V.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헌규 Heon-gyu, Lim. 강남대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