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s first aim is to introduce 42 pieces of unpublished handwritten English-translation Si-jo from Diary located in James Scarth Gale Papers, a collection of the Thomas Fischer Rare Book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in Canada. Through this, we could collect all of Gale's So-jo translations which were scattered among his works. The second aim is to carry out the genealogical research based on this collection. Gale's views on the Korean literature including Korean verses and songs and its poetic words had changed. We investigated how Gale's changed view influenced on the reorganization of Si-jo pieces translated into English(1895-1928). At first Gale seemed to regard Si-jo which was one of Koreans' favorite literary forms just as an literary medium to deliver the gospel, but he had showed different views of Si-jo since Pen-picture of Old Korea(1912, 朝鮮筆景). Gale started to think that his translations of Si-jo and Si-jo pieces in The Collection of Si-jo by Nam Hoon(南薰太平歌)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 Korea. This new view had an effect on his selection of Si-jo pieces from The Collection of Si-jo by Nam Hoon in his translation. Formerly, he selected pieces including Korean colloquial expressions a lot, but now he also dealt with pieces including authentic precedents from Chinese classics and Chinese literary contexts. The Si-jo pieces dealt in Gale's Diary and The Korea Bookman in the 1920s were not just the object of translation, but also that of commentary which needed a note. Accordingly, Gale explained an idiomatic expression and an authentic precedent which were properly arranged in Korean syntactic structure by means notes. The ground for his change was that he thought the So-jo pieces in The Collection of Si-jo by Nam Hoon reflected the gradually disappearing Korean tradition and its transformation into the place of classic after the 1920s.
한국어
본고는 첫째, 토마스피셔 희귀본장서실 소재 게일의 『일지』에 수록된 미간행 육필 영역시조 42수 재구작업의 결과물을 학계에 소개했다. 이를 통해 토마스피 셔 희귀본장서실 소장 『게일유고』(Gale, James Scarth Papers)를 포함한 게일 영 역시조 전반을 집성했다. 둘째, 이렇게 집성된 영역시조에 대한 계보학적 탐구를 수행했다. 게일의 한국시가를 포함한 한국문학관과 시가어 인식의 전환에 따라 1895~1922년 사이 영역시조가 (재)배치되는 문맥의 전환양상을 규명했다. 『朝 鮮筆景(Pen-picture of Old Korea)』(1912)에서 과거 한국인에게 복음전파를 위 하여 한국인이 애호하는 문학형식으로 인식되던 시조와는 다른 형상이 보인다. 게 일의 영역시조와『남훈태평가』소재 시조는 ‘옛 조선(Old Korea)’의 詩歌로 형 상화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영역시조의 새로운 형상과 더불어 게일의 번역작품 선 정의 모습이 변모된다. 게일은 한국인의 구어에 근접한 작품을 위주로 번역하던 과거와 달리, 한문고전의 전고와 한문구를 담고 있는 작품을 번역대상으로 포괄했다. 또한 『일지』를 비롯한 1920년대 번역대상으로 소환된 시조작품은 단순히 시 어의 문장을 번역할 대상일 뿐만 아니라, 그 문학적이며 관용적인 의미를 해설해 야 할 주해의 대상으로 새롭게 소환된 것이다. 이에 맞춰 게일은 한국어 통사구조 속에 배치된 한문고전의 전고를 주석으로 풀이했다. 이러한 변모의 근간에는 『남훈태평가』소재 시조작 품이 1920년대 이후 사라지며 소멸되는 전통이자 고전으 로 변모되는 정황이 반영되어 있었다.
목차
1. 머리말
2. 『朝鮮筆景』 소재 영역시조와 시조 장르의 재편 - ‘노래’에서 ‘문학’으로
3. 『일지』 소재 영역시조와 시가어의 재편 - ‘구어’에서 ‘문학어’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