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본 『초사』의 문헌학적 연구 - 密陽府간본, 楊上林간본, 병술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Joseon editions of Chuci(楚辭) - focused on The Miyang Prefecture edition, Yang Shanglin edition and Bingxu Year edition -

조선본 『초사』의 문헌학적 연구 - 밀양부간본, 양상림간본, 병술본을 중심으로 -

가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mong all the versions printed and published during the Joseon Kingdom period, the three Joseon editions of Chuci of documentary value, I think, are worth my study. Through special study, I think: 1) The Miyang Prefecture edition(密陽府刊本) in 1454 (the second year of Danjong period) of six volumes of Chuci Houyu(楚辭後 語) and two volumes of Chuci Bianzheng(楚辭辯證) is a reprint of Gengzi font cover edition(庚子字覆刻本) and is store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other libraries. It is the official edition among a few versions that can determine the publication time. Because of its postscripts and complete contents, it is an important edition of documentary value that I have ever read among all the versions during the Joseon Kingdom period. The Miyang Prefecture edition is the reprint of block-printed edition in Yu Xinheng House in Jian’an Province in 1321 (the first year of Zhizhi in Yuan Dynasty) (元至治元年(1321)建安虞信亨宅刻本)which shows that the Jian’an edition had spread to Korean Peninsula before 1453. 2) The Yang Shanglin edition of eight volumes of Chuci Jizhu(『楚辭集注』八卷楊上林本) reprinted and published in the Joseon Kingdom period is a replica of Wu Shen font edition(戊申字刊本) and is store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Jangseogak Archives, Berkeley College in America and so on. After spreading to Joseon Dynasty, the Yang Shanglin edition has been cut short. for example, Tang Su' preface(唐樞序), Gu Yingxiang' preface(顧 應祥序), each Chuci's list (各家楚詞書目), 「Qu Yuan' biography」 (「屈原傳」), Yang Shanglin' postscript(楊上林題識) have been deleted. In addition, the reserved books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Jangseogak Archives and Berkeley College in America are a combined issue of Chuci Jizhu(Yang Shanglin edition), Chuci Houyu and Chuci Bianzheng. They are divided into four sets. The compilation of Zhu Xi(朱熹)’s Chuci Jizhu, Chuci Houyu and Chuci Bianzheng reflects the recognition for the comments on Chuci by Zhuxi from indirect sources. 3) Gengshen Year edition of Chuci Quan(『楚辭』庚申本) reserve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was printed in 1860 and Bingxu Year complement edition of Fujia Zhengzong(『賦家正宗』丙戌本) stored in Wencheng Hall in Jangseogak Archives was printed in 1886. The Bingxu Year complement edition is compilated based on the Gengshen Year edition and both them are Fang Ke edition(坊刻本). The compilation of the two books is very arbitrary in Chinese annotation and Hangeul phonetic notation. In this case, the commercial publishers at that time reprinted and published the two books in order to make a great profit. What is noteworhy is that the commercial publication of them is also a reflection of readers’ huge demand for Chuci literature from the side. At the same time, Gengshen Year edition of Chuci Quan, the only edition to be independently compilated and annotated edition among all collected Joseon Chuci reprints, is an important milestone in history of the widespread of Chuci literature to Korea.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시기에 간행된 많은 초사판본 중에서 문헌적 가치가 높은 세 가지 조선간본을 선택하여 연구한 것이다. 필자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 을 도출하였다. 첫째, 단종 2년(1454)에 密陽府 간본인『楚辭後語』 6권과 『楚 辭辯證』 2권은 조선에서 庚子字로 복각한 판본이고 현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조선에서 간행된 초사 간본들 중에서 간행시기를 확인 할 수 있는 매우 드문 간본에 해당한다. 또한 발문과 刊記 내용이 완전하게 보존되 어 있어 지금까지 필자가 찾아낸 초사의 조선판본 중에서 가장 높은 문헌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판본이다. 밀양부 간본은 중국의 원나라 至治 元年(1321) 建安 虞信 亨宅 간본을 저본으로 간행한 책이다. 이를 통해 元刊本인 우신형댁본은 1453년 이전에 이미 조선에 유입되고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중국 楊上林 간본인 『楚辭集注』 8권은 조선시기에 重刊되고 戊申字로 간행되었으며 현 국립중앙도 서관과 장서각, 미국 버클리대학교 등에 소장되어 있다. 양상림본이 조선에 전래된 이후로 새롭게 간각한 판본들은 원래 내용의 일부가 삭감되었다. 예컨대, 唐樞의 서문, 顧應祥의 서문, 各家楚詞書目, 「屈原傳」, 양상림의 「題識」는 삭제되었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각과 미국 버클리대학교에 소장된 이 판본에 대해 필자 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조선시기에 양상림본인『楚辭集注』 8권만 간각한 것이 아 니라, 『楚辭後語』 6권과 『楚辭辯證』2권도 함께 간각하였는데 그것은 모두 4책 으로 나뉜다. 이렇게『楚辭集注』,『楚辭後語』, 『楚辭辯證』 세 책을 합각하여 편찬한 것은 그 당시 조선 사람들이 朱熹가 초사를 고증한 것에 대한 인식으로 보아낼 수 있다. 셋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인『楚辭』 庚申本의 간행시기는 1860년이고 장서각 소장본인 文成堂 『賦家正宗』 丙戌本의 간행시기는 1886년 이다. 병술본은 경신본의 보각본이고 두 판본은 모두 방각본이다. 두 판본의 한문 주석과 한글 주음을 근거로 보면 편찬 방식이 매우 자유롭다. 그것은 당시의 상업출 판자들이 경신본과 병술본을 출판한 목적이 돈을 벌기 위한 상업적 목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두 판본을 통하여 조선후기에 초사에 대한 독자들의 수요를 적극 반영하였다. 또한 『楚辭』경신본은 지금까지 필자가 찾아낸 초사의 조선판본 중에서 유일하게 조선에서 독립적으로 편찬하고 주해한 판본이고 『楚辭』문헌이 한국에 널리 전파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한국에서 중국본 『초사』의 전파
 3. 단종 2년(1454) 密陽府 간본 『楚辭後語』 6권과 『楚辭辯證』 2권
 4. 조선시대 戊申字로 간행된중국 양상림간본 『楚辭集注』 8권
 5. 조선시기 간행된 文成堂 『賦家正宗』 丙戌本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가첩 Jia Jie.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