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단국대학교 소장 한문본 「倡善感義錄」소재 삽입 한시의 기능과 미감

원문정보

Functions and Aesthetic Feelings of Sino-Korean Poems in 「Changseongamuirok」 of written in chinese in Dankook University

단국대학교 소장 한문본 「창선감의록」소재 삽입 한시의 기능과 미감

尹載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iterary value of sino-korean poems interposed in Changseongamuirok. As the author of Changseongamuirok is thought to be a person with considerable knowledge of sino-korean literature, the sino-korean poems interposed in Changseongamuirok can be the clue to examine his literary ability. Furthermore, evaluation on the sino-korean poems interposed in Changseongamuirok can have the verification of Changseongamuirok’s literary value and of the author’s ability to create novels and to compose literary pieces be possible, and is thought to help determining who wrote Changseongamuirok. The sino-korean poems interposed in Changseongamuirok is not necessary parts for composition or development of the entire piece but additional parts for explaining and verifying characters and situations. Functions and roles of the interposed sino-korean poems are indeed very limited, but it is thought that the reason the author interposed such sino-korean poems into the piece is that those poems perform functions more than superficial limited ones. When the composition of Changseongamuirok and the literary achievement of its interposed sino-korean poems are examined, it can be thought that the author of Changseongamuirok achieved the level of professional novel writer. From the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Changseongamuirok was written in the time closer to the 19th century than to the 17th century and that the author also had literary and narrative creativity with considerable sino-korean literary ability. Such an author adopted sino-korean poems since he thought those interposed sino-korean poems took important roles for strengthening novelistic value and literary excitement. Further and deeper interests in and researches on sino-korean poems interposed into novels of Joseon dynasty period are expected.

한국어

이 글은 단국대학교 소장 한문본 「창선감의록」 소재 삽입 한시의 문학적 가치 해명을 목적으로 한 글이다. 「창선감의록」의 저자가 한문에 대해 상당한 정도의 식견을 가진 인물이라고 유추된다는 점에서 「창선감의록」에 삽입되어 있는 한시는 저자의 문학적 역량을 살필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다. 「창선감의록」 소재 한시에 대한 평가는 나아가 「창선감의록」의 문학적 가치와 저자의 소설 창작 능력, 작품 구성 능력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창선감의록」 속의 삽입 한시는 작품의 구성이나 전개를 위한 필수 요소가 아니라 인물의 성격과 상황에 대해 부연 설명하거나 증명하는 부가적 요소이다. 따라서 작품 전체에서 삽입 한시의 기능과 역할은 극히 제한적이지만, 이러한 삽입 한시를 소설의 저자가 작품 속에 수용한 것은 삽입 한시가 부가적 요소로써 수행하는 제한적 기능을 넘어 작품 전체의 문학성 강화에 기여하는 상당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창선감의록」 속 삽입 한시는 내용 전개나 작품 구성을 위한 필수 요소는 아니었을지 모르지만, 작품의 소설적 흥미를 강화하는 裏面的 요소로 상당한 기능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추론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다양한 검증의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지만, 「창선감의록」 소재 삽입 한시의 분석과 같은 고소설 소재 삽입 한시의 분석은 고소설의 문학적 성취를 추론하는 새로운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조선조 소설 속 삽입 한시에 관한 연구와 관심의 폭이 보다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창선감의록」 소재 삽입 한시의 기능
 Ⅲ. 삽입 한시의 문학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尹載煥 윤재환.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