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자와 상담

원문정보

Chuang-tzu and Counseling

최준섭, 박성희

피인용수 : 1(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uang-tzu from a perspective of counseling and to get some practical counseling insight from Chuang-tzu philosophy. Chuang-tzu's content can provide abundant creative ideas in line with counseling approach, because the key storytelling method of Chuang-tzu is fables which give the readers the freedom to interpret the stories in their own way. Various content were categorized, and the associations among them were determined and reinterpreted from a counseling perspective. To be determined more easily the counseling components and meaning inherent in Chuang-tzu’s content, I explained and associated each chapter title of Chuang-tzu’ book with counseling. And I discussed The counselor Chuang-tzu and characteristics of Chuang-tzu counseling. To be specific, That can be include counseling as change and growth, a counselor as a client, counseling of unity between one and object, counseling as adaptation and evolution, counseling as discovery, counseling as sympathy, counseling for self-purification. and counseling for nature itself remained intact.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장자(莊子)의 철학과 그의 사상이 담겨 있는 책「장자」를 상담학적 의미로 재해석함으로써 장자 상담의 면모와 다양한 특징들을 밝히고 현대 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장자 상담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책「장자」의 주된 이야기 방법인 우화(寓話)는 그 특성상 읽는 사람들에게 제각각 나름대로의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는 자유로움을 가지고 있는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담학적 접근이라는 방향성만 유지한다면 무궁무진한 상담적 요소를 제공하는 충분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기존의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자료들을 같은 맥락이나 동일한 범주로 묶어 상담적 연관성을 밝히고 새롭게 재해석 하였다. 책 장자가 지닌 상담학적 의미를 보다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 책 장자의 편명(篇名)을 상담과 관련지어 설명하였고 상담자로서 장자의 모습과 함께 장자 상담의 특징으로 변화와 성장의 상담, 서로가 상담자이자 청담자인 상담, 물아일체의 상담, 치언의 상담, 발견의 상담, 공감의 상담, 자정을 위한 상담, 무위를 위한 상담 등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문제 제기
 연구 방법
 책 장자의 편명(篇名)으로 보는 상담
  소요유와 상담
  제물론과 상담
  양생주와 상담
  인간세와 상담
  덕충부와 상담
  대종사와 상담
  응제왕과 상담
 상담자 장자
 장자 상담의 특징
  변화와 성장의 상담
  서로가 상담자이자 청담자인 상담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상담
  치언(卮言)의 상담
  발견(發見)의 상담
  공감(共感)의 상담
  자정(自正)을 위한 상담
  무위(無爲)를 위한 상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준섭 Choi Joon Sup. 새금초등학교
  • 박성희 Park Sung Hee. 청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박성희 (2007), 상담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 2박성희 (2009), 공감, 서울; 학지사 이너북스
  • 3박성희 (2011), 진정성, 서울; 학지사 이너북스
  • 4박성희 (2012), 수용, 서울; 학지사 이너북스
  • 5박성희 (2014), 상담과 만남의 네 차원, 청주교육대학교
  • 6박옥영 (2011), 장자 사상의 도덕과 교육에의 함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7박주영 (2014), 장자로 본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 8박진아 (2014), 방촌 황희의 소통방식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9심재권 (2000), 장자의 무위자연사상, 한림대학교 대학원
  • 10유성애 (2003), 노자의 도덕경과 로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 이론의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 11윤재근 (2013), 인물로 읽는 장자, 서울; 나들목
  • 12이기동(역) (2008), 장자 내편, 서울; 동인서원
  • 13이인호 (2007), 장자 30구 분방한 자연주의자의 우언, 서울; 아이필드
  • 14장자 지음, 완샤 풀어씀, 심규호 옮김 (2011), 그림으로 쉽게 풀어쓴 지혜의 샘 장자, 서울; 일빛
  • 15장주 지음, 김학주 옮김 (2013), 장자, 경기; 연암서가
  • 16정용선 (2012), 장자, 마음을 열어주는 위대한 우화, 경기; 간장
  • 17조미은 (2004), 장자의 도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18차경남 (2011), 장자, 영혼의 치유자, 서울; 미다스북스
  • 19푸페이룽 지음, 심의용 옮김 (2013), 장자교양강의, 경기; 돌베개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