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50~60대 남성의 하반신 체형분류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Lower Body Shapes of Men in Their 50s and 60s

김지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ed factor and cluster analyses to classify men's lower body shapes by utilizing 562 men's direct measurement data from the 6th Korean Human Body Measurement Investigation (2010) and thu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sizing system for lower body of men in their 50s and 60s. The analysis on the lower body measurement changes for each age group indicates that the measurements for height, width and length decrease with age, while circumference measurements, except for hip and leg areas,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age. Men's lower body experience mo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thickness than in the width. There are five factors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and three types of body shape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luster analysis. These five factors are Factor 1, horizontal circumferences of lower body; Factor 2, vertical lengths of lower body; Factor 3, measurements to determine the shape of leg; Factor 4, lengths of crotch area; and Factor 5, lengths of hip area. The Body Shape 1, a petite lower body with flat hip, is evenly distributed among all the age groups, which accounts for about 40.93%. The Body Shape 2, an obese abdomen and legs, accounts for about 32.21% among all the age groups and 51.93% among the men in their 60s. The Body Shape 3, a long lower body with slightly raised abdomen, accounts for 26.87% among all the age groups and 62.91% among the men in their 50s. The Body Shape 1, Body Shape 2 and Body Shape 3 are listed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based on the overall distribution of lower body shapes among all the age groups and thu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lower body shape of the men in their 50s ( 38.72%) and 60s (43.40%) falls under the Body Shape 1.

한국어

본 연구는 50대와 60대 남성의 하반신 체형분류 를 통해 남성 하의치수체계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50~60대 남성의 제6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 직접계측치로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체형 을 분류하였다. 계측치 분석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화로 인 해 높이·너비·길이항목의 값은 감소하고 엉덩이둘 레와 다리부위 둘레를 제외한 둘레항목은 증가하였 으며 너비보다는 두께의 변화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 다. 요인분석 결과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 인1은 하반신 수평크기, 요인2는 하반신 수직크기, 요인3은 다리형태, 요인4는 샅부위길이, 요인5는 엉 덩이길이로 명명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총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 형1은 전체의 40.93%를 차지하고 50대와 60대가 동 일한 분포를 가지며 하지가 짧고 엉덩이가 밋밋한 체형이다. 유형2는 전체의 32.21%를 차지하고 60대 에서 51.93%의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며 복부 및 하 지 비만체형이다. 유형3은 전체의 26.87%를 차지하 며 50대에서 62.91%의 높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하지 가 길고 복부 굴곡이 완만한 체형이다. 따라서 전체 유형별 분포는 유형1>유형2>유형3의 순으로 높게 나 타났으며 연령대별로는 유형1이 50대(38.72%)와 60대 (43.40%)에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보여 50~60대 남성 에서 가장 출현율이 높은 체형으로 파악되었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절차
  2.1. 연구대상
  2.2. 분석항목 및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령대별 하반신 계측치 비교분석
   3.1.1. 기술통계치에 의한 계측치 분석
   3.1.2. 지수치에 의한 계측치 분석
  3.2. 하반신 체형요인
  3.3. 하반신 체형분류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민 Kim, Ji Min.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전공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