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자생 꽃 콘텐츠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 왕벚꽃, 유채꽃, 참꽃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Native Flower Contents of Jeju - Focused on Big Cherry Blossom, Canola Flower, and Rhododendron -

장애란, 현명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extile pattern designs and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Jeju native flower contents (Cherry Blossom with Jeju Cherry Blossom Festival, Canola flower with Jeju Canola Flower Festival and Weyrichii with Jeju Rhododendron Festival), to revive regional economy and maximize tourism effects as kind of local culture strategy. To achieve this, first, it established flower contents based on the conclusion that analogized the formative image and symbolic meaning on Cherry Blossom, Canola flower and Weyrichii. Second, it abstracted the stylized motives from the flower contents so that can be used in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After it composed one repeat of reality type, style type and abstract type based on content motives, developed the textile patterns as 2 color matching by each repeat. Third, by practicing additionally design mapping, it investigated whether the development of textile patterns can be used in fashion cultural products. Finally, it produced various bags with fabrics using canvas and oxford printed the textile patterns by DTP. For design manufacturing tools, Adobe CS5(Photoshop & Illustrator) and TexPro design CAD were used. In conclusion, as the study developed and suggested a textile pattern design of Jeju native flower contents to revive regional economy and maximize tourism effect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extile pattern developed based on regional cultural prototype could be applied to th development of various fashion cultural produc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효과를 극대화하고 제주지 역의 경제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자원식물을 이용한 연중 축제 프로그램 중 대표적인 제주왕벚꽃축제, 제 주유채꽃큰잔치와 제주참꽃나무축제를 소재로 텍스타 일 패턴 디자인 및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여 제시하 였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는 왕벚꽃, 유채꽃과 참꽃 의 조형적 이미지와 상징적 의미를 유추한 결과를 근 거로 꽃 콘텐츠를 구축한 후 표현기법에 따라 다양하 게 활용할 수 있도록 양식화한 콘텐츠적 모티브를 추 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실형, 양식형, 추상형의 리 피트를 구성한 후 리피트별 2가지 컬러배색을 통해 텍스타일 패턴을 개발하였다. 이차적으로는 개발한 텍스타일 패턴을 패션문화상품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가방디자인에 텍스타일 패턴의 디자인 맵핑을 추가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 인 의도에 따라 선택한 텍스타일 패턴을 DTP로 출력 한 소재(캔버스, 옥스퍼드지)로 패션문화상품을 실제 로 제작하여 제시함으로써 지역문화와 지역경제의 활 성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텍스타일 패턴화 작업을 위한 제작도구로는 Adobe CS5 및 TexPro 디자인 캐드를 사용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제주자생 꽃 콘텐츠
  2.1. 왕벚꽃
  2.2 유채꽃
  2.3. 참꽃
 3. 제주자생 꽃 콘텐츠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3.1. 왕벚꽃의 콘텐츠적 모티브를 활용한 텍스타일패턴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3.2. 유채꽃의 콘텐츠적 모티브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3.3. 참꽃의 콘텐츠적 모티브를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 및 패션문화상품 개발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애란 Jang ae-ran.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 현명관 Hyun myung-kwan.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