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 그룹홈의 현장 사례 연구 - 독일, 스웨덴 그룹홈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On-Site Case Study of the Elderly Group Home - Focusing on Surveys of the Elderly Group Home in Germany and Sweden -

문정인, 최임정, 최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to use as a basis when planning and remodeling the elderly group home. The subjects are the elderly group home in Germany and Swede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on-site case studies.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 planning and interior design elemen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of the interior space planning is as follows. Access space is composed of ramps and stairs and the exterior space is planned various activities. The bedroom is a single type and living room and kitchen were separated by the adjacent arrangement, a sliding door. Toilet facilities are characterized by considering of the elderly. The corridor is double type and also planned alcove space to rest. Management office is consisted of a meeting space, counsellor space and located adjacent to the entranc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is as follows: Finishing materials are eco-friendly things used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oors and windows are considering a plan to design lighting for each room. Lighting is used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each room and also signs are characterized by putting name tags, separated by the color at the door of each room. Furniture and fabrics are brought to make their used furniture in order to create a home like spa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노인공동생활가정 공간 계획 및 리모델링 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독일, 스웨덴의 위치한 그룹홈의 현 장 사례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실내공간 계획 및 실내 디자인 요소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첫째, 공간별 계획의 특징으로 접근공간의 진입 로는 경사로와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활 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외부공간이 계획되어져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생활공간으로 침실은 1인용 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거실과 주방은 인접배치, 미닫이문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위생공간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물이 배치되어 있는 특징이 도출 되었다. 내부 이동 공간으로 복도는 중복도 형식으 로 알코브공간이 있어 휴식이 가능하게 계획되어 있 었다. 관리 사무 공간은 직원을 위한 휴게실과 상담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관에 인접하여 위치 하고 있는 특징이 도출되었다. 둘째, 실내 요소 디자 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마감 재료는 노인들의 신체 적 특성을 고려하여 미끄럽지 않고 친환경 재료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문과 창은 각 실마다 채광 등 기 능에 따라 차별을 두게 디자인되어져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조명은 간접조명과 직접조명이 각 실의 기능에 따라 사용되었으며, 사인은 개별 침실 문 앞 에 이름표와 색채로 구분을 두는 특징이 나타났다. 가구 및 패브릭은 일반 가정집과 같은 공간을 조성 하기 위해 자신이 사용하던 가구를 가져올 수 있도 록 한 특징이 나타났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그룹홈 이론고찰
  2.1. 국내 그룹홈의 개념 및 특징
  2.2. 해외 그룹홈의 발달배경 및 특징
  2.3. 그룹홈 공간구성 및 실내 디자인 요소
 3. 현장 사례조사
  3.1. 조사 개요
  3.2. 조사 분석
   3.2.1. 사례조사 분석
   3.2.2. 면담조사 분석
 4. 현장사례 조사를 통한 그룹홈 디자인의 특징
  4.1. 공간별 특징
  4.2. 실내 디자인 요소별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정인 Moon jung-in. 가톨릭관동대학교 창의융합공과대학 건축학과 조교수
  • 최임정 Choi Im Jung. 강원대학교 디자인스포츠대학 생활조형디자인학과 강사
  • 최기 Choi Ki. 강원대학교 디자인스포츠대학 생활조형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